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문화 교류 확대 기대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국내 가요계는 중국의 한한령(한류 제한령) 동향을 차분히 관망하는 분위기다. 중국 현지 시장 특성상 변수와 불확실성이 여전해, 단기간에 규제가 풀릴 것이라는 성급한 기대는 경계하는 기류가 뚜렷하다.

2일 문화계에 따르면 박진영 대중문화교류위원회 위원장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나 대화를 나눌 수 있어 기뻤다”며 “대중문화를 통해 양국 국민이 더 가까워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다만 위원회 측은 별도 자료에서 “정상회담 만찬장에서의 우호적 제스처를 완화 신호로 과도 해석하는 것은 조심스럽다”고 선을 그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정상 만찬에서 중국 측이 K팝 공연에 호응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취지의 전언을 내놓았으나, 업계는 공연 인허가·심의 절차가 실제로 재개되는지를 확인하기 전까지는 판단을 유보하겠다는 입장이다. 그간 중국에서는 공연 예고 후 막판 불허나 일정 연기가 반복돼 왔고, 플랫폼·콘서트·광고 등 각 분야별 규제 수위도 일괄적이지 않았다.


▲9년째 이어진 한한령…‘정책 → 행정 절차’ 전환 확인이 관건

중국은 2016년 사드(THAAD) 배치 이후 한국 드라마·영화·음악·공연·광고 전반에 걸쳐 비공식적 제한을 가해왔다. 이 때문에 K팝 아티스트의 베이징·상하이 대형 공연이 장기간 중단됐고, 현지 방송·OTT·SNS 노출도 제약을 받아왔다. 일부 콘텐츠와 아티스트는 제한적으로 활동했으나, 전면 해제로 보기 어려운 사례가 대부분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실제 완화를 판단하려면 △공연 허가(공안·문화부문) 정상화 △해외 아티스트 출연 심사 가이드라인 공개 △한·중 합작 프로젝트 승인 사례 증가 등 행정 절차의 가시적 변화가 확인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공연 외에도 음원 유통, 팬덤 플랫폼 상업활동, 브랜드 광고·모델 기용 등 비(非)공연 영역 규제 완화가 병행돼야 실질적 회복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산업 파급효과와 리스크 관리

한한령이 단계적으로 완화될 경우, 대형 기획사는 투어 매출·머천다이즈(MD)·현지 스폰서십 확대를 기대할 수 있고, 중소·신인 아티스트는 중국 내 페스티벌·공연 유통망을 통한 시장 테스트 기회가 넓어진다. 다만 업체들은 과거와 같은 중국 의존도 집중을 피하고, 일본·동남아·북미·유럽 투어와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유지하겠다는 전략을 공유하고 있다.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공연 대관·허가 타임라인을 여유 있게 잡는 일정 설계 △현지 파트너사의 행정 대응력 검증 △티켓 예매·환불 정책 투명화 △콘텐츠 검열 기준 모니터링 △정치·외교 이벤트 캘린더 반영 등이 체크리스트로 거론된다. 아울러 온라인 팬덤 운영은 **현지 플랫폼 규정(콘텐츠·후원·커뮤니티 활동 한도)**을 준수하면서, 글로벌 플랫폼과 병행 운영하는 안정화 전략이 제시된다.

▲박진영 메시지의 의미

박진영 위원장의 메시지는 정상외교를 계기로 민간 문화교류의 우호적 환경 조성을 기대하되, 판단은 성과 기반으로 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업계는 이를 “민감한 외교 사안과 상업 활동을 분리해 접근하되, 창구는 활짝 열어둔다”는 실무형 스탠스로 본다.

▲전망

향후 1~2분기 내 실제 공연 인허가 재개 사례가 나오고, 방송·디지털·광고 영역에서 가이드라인 완화나 승인 증가가 확인될 경우, 업계의 중국 전략은 ‘관망→선별 재개’ 국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가시적 변화가 없을 경우 현 기조인 보수적 분산 전략이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