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침체된 공업지역을 미래형 산업거점으로 탈바꿈시키는 대대적 정비에 나선다.
그동안 단순 제조 중심으로 남아 있던 준공업지역에 신산업·문화·주거 기능을 융합하는 ‘산업혁신구역’ 제도가 본격 도입된다.
■ 11월부터 시범사업 공모…60일간 접수
서울시는 오는 11월 6일부터 2026년 1월 5일까지 두 달간 산업혁신구역 시범사업 후보지를 공모한다고 28일 밝혔다.
선정위원회 심사를 거쳐 2곳 내외의 시범사업지를 확정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2040 서울 공업지역 기본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이는 「도시공업지역의 관리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한 법정계획이다.
기본계획은 서울 전역의 공업지역을 대상으로 산업 구조 고도화와 지역 균형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시는 대규모 공장 이전 부지나 미개발된 공업용지를 중심으로 첨단산업, 창업지원, 문화·녹지 공간을 아우르는 복합혁신공간으로 재편한다는 구상이다.
■ ‘산업혁신구역’이란?
산업혁신구역은 준공업지역의 생산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기술창업·도심제조·지식서비스업이 공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도시산업 구역이다.
단순 공장 밀집지가 아닌 ‘산업+생활+문화’ 복합지형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노후 공업지대의 공간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신산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게 시의 전략이다.
서울시는 “산업혁신구역이 기존 공업지의 한계를 넘어 도시형 산업 생태계의 허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공청회 개최…전문가·시민 의견 수렴
서울시는 오는 10월 30일 공청회를 열고 ‘2040 공업지역 기본계획’의 주요 방향을 공유한다.
이 자리에서는 산업혁신구역 제도의 구체적 운영 방안과 시범사업 추진 절차도 함께 논의된다.
도시계획, 산업정책, 건축·환경 분야 전문가뿐 아니라 해당 지역 주민과 기업들의 의견도 수렴할 예정이다.
■ 성수·G밸리 등 노후지 재편 본격화
서울시는 특히 성동구 성수동, 구로·금천 G밸리 일대, 영등포·양천 준공업지 등을 우선 대상지로 검토 중이다.
서남권 대개조 프로젝트의 연장선상에서, 노후 산업단지를 신산업 복합지로 전환하는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G밸리 일대는 산업기능 강화와 함께 녹지와 여가 공간 확충이 동시에 추진된다.
시는 “산업과 생활이 공존하는 새로운 도시형 산업공간을 조성해 첨단산업의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산업·주거·문화가 어우러진 혁신공간으로”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지난해 서남권 대개조를 시작으로 서울의 공업지역 재편이 본격 궤도에 올랐다”며
“산업혁신구역 제도는 낙후된 공업지대를 첨단산업과 문화가 공존하는 복합혁신지로 바꾸는 핵심 수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번 공청회를 통해 시민과 전문가 의견을 폭넓게 반영해,
서울의 공업지역이 산업·주거·문화가 함께 성장하는 미래 산업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향후 일정 요약
📅 11월 6일 ~ 1월 5일: 시범사업 후보지 공모
🏙️ 10월 30일: 공청회 및 제도 설명회
📊 2026년 이후: 2개 내외 시범사업지 선정 및 기본계획 시행
🌳 중장기: 공업지역을 복합산업·생활 거점으로 순차적 전환
서울시의 이번 산업혁신구역 도입은 단순한 산업용지 개발이 아니라, “공장지에서 도시산업 생태계로의 진화”라는 방향 전환을 상징한다.
이는 향후 서울 경제의 구조적 전환과 지역 균형발전의 기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