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을 중심으로 은퇴를 맞은 베이비붐 세대(1955~1974년생)가 지역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해결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수도권 중장년층의 지방 재취업을 촉진해 노후 일자리 보장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베이비부머 지역경제 붐업(Boom-Up)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 인력난 2곳 중 1곳…제조업 특히 심각

한경협이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도권·제주권을 제외한 지역 중소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51.4%가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제조업체의 인력 부족률은 60.8%로 가장 높았다.

인력난을 호소한 257개 기업의 세부 직종은 ▲기술·생산(35.3%) ▲서비스(27.7%) ▲사무·관리(12.1%) ▲연구개발(10%)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지역 인구가 줄고 청년층이 수도권으로 몰리면서 지방 중소기업의 인력 공백이 심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 “50대 이상이라도 채용하겠다” 절반 넘어

지역 기업의 절반 이상은 중장년층 고용에 적극적이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 기업의 52.2%가 50대 이상 인력을 채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인력난을 겪는 기업만 보면 그 비율이 **60.7%**로 높아졌다.
이는 청년층 인력 유입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경험과 숙련을 갖춘 중장년층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음을 시사한다.

■ 수도권 베이비붐 세대와 지방 기업, ‘3자 상생’ 모델 제안

한경협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수도권 중장년, 지방 중소도시, 지역 중소기업이 함께 이익을 얻는 ‘3자 연합 상생 모델’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퇴직 후 재취업을 희망하는 베이비붐 세대를 지역 산업현장으로 연결함으로써,
① 지방 기업의 인력난 해소
② 중장년층의 안정적 소득 확보
③ 지역 인구 유입 및 내수 회복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구상이다.

조사 결과, 지역 중소기업 45.8%가 이 모델이 인력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기대 효과로는 ▲중소기업 인력난 완화(24.3%)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 안정(22.9%) ▲지역사회 인구 유입(17.1%) 등이 꼽혔다.

■ “고향으로 돌아가 일하는 세대가 지역경제 살릴 것”

한경협은 수도권 중심 구조가 초래한 여러 부작용—부동산 가격 급등, 노후 빈곤, 지방경제 침체—을 동시에 완화하기 위해선
“퇴직 세대의 귀촌형 재취업 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상호 본부장은 “베이비붐 세대가 자신의 고향이나 연고지를 중심으로 일자리를 찾는다면,
지역 중소기업의 경영 정상화뿐 아니라 지방소멸 위기 완화와 내수 회복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고 말했다.


■ 기자의 시각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고용 대책을 넘어, 수도권 과밀과 지방 인력난이라는 두 구조적 문제를 동시에 풀 수 있는 실험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베이비붐 세대의 기술력과 경험은 지역 중소기업의 경쟁력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중장년층이 새로운 일터를 통해 제2의 삶을 설계할 수 있는 길을 연다면, 이는 곧 지속 가능한 지역경제의 회복 모델이 될 것이다.

다만, 실제 이행을 위해서는 주거·복지·교육 등 이주 지원 인프라 구축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 완화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