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이 한층 유연한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일 귀국길에서 “미국이 한국에 전액 현금투자를 요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협상 과정에서 양국 간 의견 조율이 상당 부분 진전됐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최근 워싱턴 D.C.를 방문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등과 회동하며,
한국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체화 방안을 논의했다.
핵심 쟁점은 투자 형태였다 —
미국 측은 당초 ‘특정 투자처 지정 후 45일 내 현금 입금’이라는 강경안을 제시했으나,
한국은 “3,500억 달러 규모의 현금 투자 요구는 외환시장에 심각한 부담을 준다”며
보증(credit guarantee) 및 대출(loans)을 혼합하는 방안을 주장해왔다.


결국 미국이 한국의 우려에 공감하면서, 투자 비중 조정에 합의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김 장관은 “외환시장 안정이 가장 중요한 변수였고, 이 부분에서 양측이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말했다.
이는 국내 원화시장 변동성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 완충 장치 마련의 단초로 해석된다.

향후 협상은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전후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양국 정상의 만남이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다만 김 장관은 “시점보다 내용이 국익에 부합하느냐가 더 중요하다”며,
필요하다면 APEC 이전에도 추가 협상을 이어갈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김 장관은 이번 방미 기간 중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을 찾아
‘MASGA(미국 조선업 재건 프로젝트)’의 협력 방안을 함께 논의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향후 조선·에너지 산업 분야의 새로운 협력 모델로 발전할 여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