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자지구 평화 구상의 다음 단계로 언급돼온 하마스 무장해제와 관련해 “미국 지상군 투입은 고려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못박았다. 대신 이스라엘 주도의 조치를 전제로 필요 시 미국이 지원하는 방식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아울러 이달 말 경주 APEC 정상회의 기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별도 정상회담 계획도 거듭 확인하며 미·중 간 담판 가능성에 시선을 모았다.
▲ “무장해제 약속했다…우리(미국)가 직접 들어가진 않을 것”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19일 방송 인터뷰에서 하마스 무장해제와 관련해 “그들(하마스)은 그렇게 하기로 약속했다”고 전제한 뒤, 미국·이스라엘·대리(프록시) 수행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언급했다. 다만 “미군 지상군을 보낼 이유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는 1단계 합의 이후 하마스가 약속을 어길 경우 미군 투입 가능성을 비쳤던 이전 발언보다 한걸음 물러난 톤으로, 직접 개입보다 동맹 지원 기조를 분명히 한 해석이 나온다. 무장해제 이행 시점에 대해선 “엄격한 마감선은 아니지만 머릿속 기준선이 있다”며 불이행 시 추가 조치 가능성을 경고했다.
▲ 경주 APEC서 미·중 정상회담 “예정대로”…통상 갈등 속 ‘채널 유지’
트럼프 대통령은 경주에서 열리는 APEC 회의 기간 양자 정상회담 일정이 잡혀 있다고 재확인했다. 희토류 통제 강화 등으로 고조된 무역 긴장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이 대중(對中) 관세를 현행 고율에서 추가 상향할 수 있음을 시사해 시장의 경계가 커진 상황이다. 그는 “중국을 파괴하려는 게 아니라 공정한 거래가 목표”라며 협상 여지를 남겼다.
▲ “상호관세 위법 판결 땐 국가안보 훼손 우려”
미 연방대법원이 상호관세의 적법성을 심리 중인 사안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위법 판단이 내려질 경우 환급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동시에 “그런 결정은 국가안보를 해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통상정책을 안보 프레임으로 끌어와 법적 판단의 파급력을 압박한 셈이다.
▲ 시사점: 중동 ‘간접 개입’·아시아 ‘정면 대화’…시장엔 변동성 신호
중동: 미국의 ‘지상군 비투입’ 원칙은 확전 리스크 완화 요인이나, 무장해제의 실행 주체·검증 방식이 불명확하면 긴장 재점화 가능성도 남는다.
미·중: 정상 간 대화 채널 유지는 긍정적이지만, 관세 상향·수출통제 등 구조적 갈등은 여전하다. 경주 회담에서 관세·공급망·첨단기술을 둘러싼 부분적 봉합 혹은 추가 충돌이 결정될 수 있다.
시장: 외교 변수는 달러·원화, 반도체·희토류 밸류체인, 원자재에 즉각적인 변동성을 야기할 수 있어, 행사 전후 정책 헤드라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