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의 요금제가 복잡하다는 지적 속에 정부가 데이터 용량과 전송 속도를 기준으로 한 ‘통합요금제’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르면 올해 안에 5G와 LTE 구분 없이 이용 가능한 단일 체계가 마련될 전망이다.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주요 통신사가 운영 중인 요금제는 총 700여 개에 이른다. 이 가운데 실제 신규 가입이 가능한 요금제는 약 250여 개에 불과하지만, 종류가 지나치게 세분화돼 소비자가 합리적으로 비교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정부는 이러한 복잡한 요금 구조를 정비해, 소비자가 데이터 용량이나 전송속도에 따라 직관적으로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단순화할 방침이다. 이른바 ‘통합요금제’는 통신 기술(5G·LTE) 구분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핵심은 요금 투명성 강화와 선택권 확대다.

이번 조치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LTE 요금제의 불합리한 가격 구조 문제와도 맞물려 있다. 당시 일부 통신사들이 LTE 요금제 신규 가입을 중단하면서 소비자들이 기존 혜택을 인지하지 못한 채 불리한 조건으로 이동한 사례가 알려져 비판을 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현재 통신 3사와의 협의를 마무리 단계에 두고 있으며, 연내 통합요금제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는 이를 통해 가계 통신비 부담을 완화하고, 복잡한 요금제 구조 속에서 발생하던 불필요한 소비자 혼란을 줄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은 “통신 3사의 요금체계는 소비자가 이해하기 어렵고, 비교조차 힘든 구조”라며 “5G와 LTE 구분을 없애고 데이터 중심의 통합요금제를 시행하면, 소비자 선택권이 넓어지고 통신비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업계는 통합요금제가 시행되면 요금 구조 단순화로 인한 마케팅비 절감 효과를 기대하면서도, 평균 매출(ARPU) 하락 가능성에는 경계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알뜰폰(MVNO) 시장 역시 통신사 요금제가 단순화되면 초저가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데이터 중심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요금제 개편은 단순한 가격 조정이 아니라, 한국 통신 시장의 구조 개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소비자 중심으로 바뀌는 시장에서 각 사업자의 서비스 품질과 데이터 효율성이 새로운 경쟁 기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