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주미대사는 17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국회 외통위 국정감사에서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미국 측의 ‘농축산물 추가 개방 요구는 없다’고 밝혔다. 최근 일부에서 제기된 미국산 대두(콩) 확대 논의와 관련해서도 새로운 개방 요구로 보긴 어렵다는 취지로 선을 그었다.

대사는 협상 핵심 쟁점으로 한국이 약속한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을 지목했다. 양국이 7월 말 ‘큰 틀 합의’를 공유했지만, 투자 항목·재원 배분·수익 배분 방식을 두고 문서화 과정에서 입장 차가 확인됐다는 설명이다. 현재는 김용범 정책실장·김정관 산업부 장관 등 고위급이 워싱턴 D.C.에서 미국 상무부와 집중 협의를 이어가는 중이다.

한편 한미 조선업 협력은 진전을 위해 미국 내 입법·행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미국의 관련 법·규정은 외국 조선소의 미 해군 군함 건조를 제한해 왔기 때문에, 미국 내 건조·수리·정비 참여 확대를 위해선 법 개정 또는 행정적 해석·절차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는 판단이다. 강 대사는 “상원의원들과 접촉해 현황을 공유했으며, 필요한 입법 조치와 병행해 행정적으로 가능한 영역을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APEC 정상회의 전 타결 가능성에 대해선 “시간에 쫓겨 국익을 해칠 합의는 하지 않는다”면서도, 정상회의를 계기로 합의 여건을 돕겠다고 밝혔다. 즉, 협상 시한을 자의적으로 설정하지 않되, 외교 무대의 레버리지는 적극 활용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