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시 한번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약 497조7000억 원)를 선불(up front) 로 지급하기로 했다”고 주장했다.
이 발언은 단순한 수사 이상의 정치적 메시지로 읽힌다. 트럼프가 관세 정책의 정당성을 강조하는 가운데, ‘경제적 승리’를 부각해 국내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의도가 짙다는 분석이다.
💬 트럼프 “韓·日 모두 서명…한국은 선불로”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일본과 한국은 모두 미국과 무역합의에 서명했다.
한국은 3500억달러를 선불로, 일본은 6500억달러로 합의했다”고 발언했다.
그러나 일본의 실제 대미 투자 약속 규모는 4500억달러 수준으로, 트럼프의 발언은 과장된 수치로 보인다.
그는 앞서 9월 25일에도 비슷한 취지로 “한국이 투자금을 선불로 내기로 했다”고 언급했으며,
이번에는 이를 다시 한 번 공식화하며 한미 무역 합의의 ‘기정사실화’ 전략을 강화했다.
💵 현실은 아직 ‘미완의 협상’…세부 조건 놓고 3개월째 교착
하지만 실제로는 한미 간 투자금 구조와 분담 방식에 대한 합의가 완전히 마무리되지 않았다.
한국은 지난 7월 30일 미국과 무역 합의를 도출했지만,
‘투자금의 성격’—즉, 민간기업 투자인지 정부 보증금인지—를 두고 이견이 남아 있다.
이로 인해 일본·EU보다 자동차 품목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이 최대 10%포인트 높은 상태다.
한미 간 문서 서명이 미뤄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 美 재무장관 “10일 내 합의 기대”…막판 조율 중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양측의 이견이 곧 해소될 것이라 확신한다”며
“10일 이내에 긍정적인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현재 워싱턴을 방문 중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G20 재무장관회의 및 IMF·세계은행 연차총회 참석을 계기로 베선트 장관과 회동해
“국익에 부합하는 합의가 빠르게 이뤄지는 것이 최선”이라고 밝혔다.
이는 실무적으로 협상 타결이 임박했음을 시사한다.
⚖️ 전문가 시각: “트럼프의 선불 주장은 정치적 메시지에 가깝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발언을 정치적 레토릭(수사)으로 본다.
미 대선 정국에서 관세 정책의 효용을 부각시키며
“미국이 동맹국으로부터 거액의 투자금을 받아냈다”는 이미지를 만드는 전략이라는 것이다.
워싱턴의 한 외교소식통은
“3500억달러라는 금액은 실제 정부 간 이전이 아니라 민간 투자계획을 총합한 수치일 가능성이 크다”며
“트럼프는 이를 ‘선불 합의’로 포장해 유권자에게 ‘경제적 성과’로 보여주려는 계산”이라고 분석했다.
🌎 한미 무역협상, 향후 10일이 분수령
이번 발언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닌 미국의 대(對)아시아 무역 프레임 재편 신호로도 읽힌다.
트럼프가 다시 관세를 외교의 중심 도구로 삼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이 ‘투자 약속국’으로 언급된 것은 새로운 동맹 구조 내 경제적 역할 분담을 암시한다.
결국 향후 10일 내 합의가 실제 문서화된다면,
그것은 단순한 투자계약을 넘어 트럼프식 ‘경제안보 블록화 전략’의 첫 단추가 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