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반도체 산업의 양대 축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미국이 부과하려던 100% 고관세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번 결정은 한·미 무역 협상에서 얻은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로, 반도체 수출 불확실성을 크게 낮춘 조치로 평가된다.

미국의 고관세, 왜 문제였나

올해 초 미국은 자국 제조업 보호와 대중(對中) 견제를 명분으로 일부 국가의 첨단 반도체 수입에 100% 관세를 예고했다. 한국 기업이 이 대상에 포함될 경우,

제품 가격 경쟁력 급락

현지 고객사와의 장기 계약 차질

투자 축소 및 생산라인 조정
등이 불가피할 전망이었다.

협상 결과, 전략산업 ‘우대’

한국 통상 당국은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양국 공급망 안정과 안보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반도체가 양국 모두의 전략 산업이라는 점이 부각되면서, 삼성전자·SK하이닉스 제품은 최종적으로 관세 면제 품목에 포함됐다.


산업·경제적 파급효과

수출 안정성 확보: 한국 반도체의 미국 시장 점유율 유지

투자 계획 지속: 양사는 미국 내 공장 증설과 R&D 투자 계획을 예정대로 추진 가능

환율·주가 긍정 반응: 발표 직후 원화 강세와 관련 종목 주가 상승세 나타남

남은 과제와 리스크

관세 면제에도 불구하고,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대중 수출 규제 강화와 공급망 재편은 계속될 전망이다. 특히 첨단 메모리·AI 반도체에 대한 미국의 수출 통제 강화는 한국 기업의 시장 전략에 변수를 줄 수 있다.

전문가 시각

산업 분석가들은 이번 결정을 “단기적인 승리”로 평가하면서도,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생산거점 다변화와 기술 초격차 유지가 필수라고 지적한다. 관세 리스크가 언제든 재부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