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의 병력이 최근 6년 동안 약 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한 수치 감소를 넘어, 인구 구조 변화가 안보 체계 전반에 장기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출산율 급락 → 20대 남성 인구 30% 감소

핵심 원인은 인구절벽이다. 2000년대 초반 이후 출산율이 가파르게 하락하면서, 병역 자원의 중심인 20대 남성 인구가 지난 10여 년간 약 30% 줄었다. 이로 인해 현역 복무 인원은 물론 부사관·장기복무 인력의 충원에도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전력 공백, NCO 중심으로 심화

특히 부사관(NCO) 인력 부족은 전투력 유지의 직접적인 위협 요소로 꼽힌다. 부사관은 병사와 장교를 잇는 핵심 계층으로, 장기 근무를 통해 숙련도를 쌓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최근에는 장기복무 지원 경쟁률이 낮아지고, 숙련 부사관의 조기 전역도 증가하는 추세다.


대체 전력 확보와 군 구조 개편 시급

군은 병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첨단 무기체계, 무인화 전력, AI 기반 지휘체계 도입 등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기술적 보완이 인적 전력의 공백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많다.
또한 병역 자원 감소가 지속될 경우, 군 구조 자체를 ‘질적 전환’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예를 들어, 상비군 규모를 줄이되 전문 직업군 비중을 늘리고, 유연한 복무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다.

향후 10년, 안보 패러다임의 시험대

전문가들은 “향후 10년이 병역 자원 감소에 대응하는 군 개혁의 분수령”이라고 경고한다. 단순히 인원 감축을 관리하는 수준이 아니라, 국가 안보 전략 전반을 재설계해야 하는 시점이라는 것이다.
인구절벽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지만, 그것이 안보 취약으로 직결되지 않도록 하는 전략이 한국군의 가장 큰 과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