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초강력 대출 규제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 발표 여파로 서울 주요 지역의 아파트값 오름폭이 3주째 줄어들고 있다. 특히 마포구 상암·성산동 일대에서는 고점 대비 30% 이상 급락 거래가 잇따르며 시장 불안이 가시화되고 있다.
◇ 서울 전역 상승 폭 축소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둘째 주(14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전주 대비 0.29%에서 0.19%로 둔화됐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이른바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벨트의 오름세가 일제히 꺾였다.
· 강남구: 0.34%→0.15%
· 서초구: 0.48%→0.32%
· 송파구: 0.38%→0.36%
· 마포구: 0.60%→0.24%
· 용산구: 0.37%→0.26%
· 성동구: 0.70%→0.45%
◇ 단지별 ‘폭락 거래’ 속출
대출 규제 강화 직후 고가 단지들의 ‘급매’가 이어지고 있다. 대표 사례는 마포구 상암월드컵파크3단지 전용 84㎡다.
5월: 12억 원(7층) → 7월 1일: 8억 원(11층) (↓4억 원, ‑33.3%)
또 성산시영 전용 50㎡는 6월 25일 11억5000만 원에서 7월 1일 7억2000만 원으로 하락해, 두 달 만에 37.4% 하락률을 기록했다.
◇ 거래량도 82% 급감
거래 신고 기한(30일)을 감안하더라도 매수·매도 심리는 급격히 위축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7월 1~16일 서울 아파트 거래 건수는 981건으로, 작년 동기(5513건)에 비해 82% 급감했다.
◇ 고가 매물 계약 취소 증가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에서 매매가 10억 원 초과 아파트의 계약 해지 비중은 26.9%에서 35.0%로 8.1%포인트 늘었다. 반면 5억 원 이하 저가 아파트의 해지 비중은 32.2%에서 25.1%로 감소했다.
◇ 전세 시장도 영향권
전셋값 상승폭은 0.08%에서 0.07%로 소폭 둔화됐다. 다만 송파구 전셋값은 0.27% 올라 오름폭을 확대했다. 전세 물건은 2만5002개로 작년 말 대비 21% 감소해, 매물 부족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 강화가 매수자의 심리적 부담을 키워 고가 단지 급매와 계약 취소를 부추기고 있다”며 “당분간 서울 집값 변동성은 크겠지만, 실수요층 위주로 시장이 재편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