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의 주요 교통 관문인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일대가 대규모 지하화와 입체 복합개발을 통해 업무·숙박·상업·문화 기능을 아우르는 미래형 도시공간으로 새롭게 조성된다.
서울시는 26일 서초구 반포동 고속버스터미널 부지(약 14만6000㎡)를 ‘사전협상 대상지’로 공식 선정하고, 신세계센트럴·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제출한 재개발 계획에 대한 본격 협상 절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 50년 된 교통거점, 지상부 기능 한계 뚜렷
1975년 개장한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경부·영동·호남선 버스가 모이는 전국 단위 교통 허브로 자리잡아 왔다. 지하철 3·7·9호선이 만나는 초역세권이자 서울 도심·공항으로의 접근성이 뛰어나 ‘강남 관문’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러나 개장 후 50년 가까이 경과하면서 시설이 노후화됐고, 넓은 지상 주차공간과 고속버스 진출입 차량으로 인해 보행 동선 단절, 상습 정체, 소음·대기오염 등 도시환경 문제도 지속적으로 발생해왔다.
■ 고속버스터미널 ‘지하화’ 추진…지상은 업무·숙박·문화 결합한 복합도시로
이번 개발 구상안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기존의 경부·영동·호남선 고속버스터미널을 지하로 옮겨 통합하는 것이다. 운송 기능을 지하로 내려 교통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지상부를 복합적 도시 기능 중심공간으로 재편한다.
민간사업자가 제안한 지상 개발 방향은 다음과 같다.
· 글로벌 기업 입주가 가능한 업무시설
· 대형 상업·판매시설
· 호텔 등 숙박 인프라
· 전시·공연 등 문화시설
· 일부 주거시설 및 생활 편의 기능
서울시는 이 일대를
· 신교통 수단을 연계한 미래교통플랫폼,
· 혁신기업을 흡수하는 글로벌 신성장 허브,
한강과 연결되는 녹지·문화 거점
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 지하 직결차로·도로 입체화…강남대로 교통 체증 해소 기대
개발안에는 교통 대책도 포함돼 있다.
민간사업자는 공공기여 형식으로
고속버스가 바로 터미널과 연결되는 지하 직결차로 신설
주변 연결도로 일부 지하화 및 입체화
를 제시했다.
이를 통해 강남대로를 지나는 고속버스 통행량을 크게 줄여 교통 혼잡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도심–한강을 연결하는 입체보행교와 공공 보행 네트워크 확장 등 보행환경 개선 계획도 포함돼 있다.
■ 공공성·교통대책 중심 검토…전문가 협의 거쳐 최종 확정
서울시는 사전협상 과정에서
· 교통영향 분석
· 공공기여 적정성
· 지역이 필요로 하는 공공시설 구성
· 주변 도시축과의 연계성
등을 종합 검토한다.
협상은 시·민간·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협상이 마무리된 이후 민간 측이 도시관리계획 변경 입안과 건축 인허가 절차를 밟아 최종 개발안이 확정된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터미널 재건축을 넘어, 서울 도심의 입체적 공간 활용을 실현하는 새로운 모델이 될 것”이라며 “강남 도심(GBD), 여의도(YBD), 용산 국제업무지구 등을 연결하는 글로벌 핵심 거점으로 성장하도록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