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이 다가오면 빠지지 않는 질문이 있다.
“연금저축이 먼저인지, IRP가 먼저인지, ISA는 또 어디에 넣어야 하나요?”

세제혜택이 큰 상품일수록 규정이 복잡하다. 하지만 구조를 단순화하면 누구나 쉽게 ‘정답 조합’을 만들 수 있다. 올해도 절세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세 가지 숫자만 정확히 기억하면 된다. 바로 600·300·2000이다.

■ 첫 단계: 연금저축 600만원 – 가장 유연한 절세 그릇

개인연금 상품 중에서 가장 먼저 채워야 할 계좌는 연금저축이다.

· 연간 세액공제 한도: 600만원

· 중도 인출: 사유 충족 시 일부 가능

· ETF·펀드 등 위험자산 100% 편입 가능

가장 먼저 선택되는 이유는 ‘활용성’ 때문이다. 갑작스러운 비용이 발생했을 때 일정 조건하에 원금을 일부 인출할 수 있어 실생활 안정장치로 기능한다. 또한 투자 선택의 폭도 넓어 장기 수익률 관리에 유리하다.

연봉 5500만원 이하 근로자는 16.5%, 그 이상은 13.2%의 세액공제를 받는다. 즉 600만원을 채우기만 해도 최대 99만원을 환급받는 구조다.

■ 두 번째: IRP 300만원 – ‘30% 안전자산 룰’만 기억

연금저축 600만원을 채웠다면 다음은 IRP다.

세액공제 대상 금액: 연금저축과 합산 900만원 중 300만원 추천

중도 인출: 사실상 불가

위험자산 편입: 70%까지만 허용(30%는 안전자산 필수)

IRP는 중도 인출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유연성’ 면에서는 뒤순위지만, 세액공제 효과는 동일하다. 다만 투자 규제가 존재해 주식형 비중을 높이고 싶은 투자자라면 반드시 구조를 이해해야 한다.

IRP와 연금저축을 합산해 900만원을 채우면 총 최대 148만5000원(16.5%)까지 돌려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가장 실용적인 조합은 “연금저축 600 + IRP 300”이다.


■ 세 번째: ISA 2000만원 – ‘세금을 덜 내는’ 계좌

연금계좌의 세액공제 한도를 채웠다면 그다음 절세 도구는 ISA다.

연간 납입 한도: 2000만원(5년간 최대 1억원)

수익 비과세: 손익통산 후 200만원

초과 수익: 9.9% 분리과세

계좌 유지 의무기간: 3년

ISA는 세금을 환급받는 연금계좌와 달리 ‘과세 자체를 줄이는’ 구조다. 가장 큰 장점은 모든 투자수익을 합산해 손해를 먼저 반영하고, 남은 수익 중 200만원까지는 과세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ETF에서 500만원 이익, 개별주식에서 200만원 손실이 났다면 300만원만 과세 대상이 되고, 이 중 200만원은 비과세다. 실제 세금은 100만원에 대한 9.9%만 부담하면 된다.

■ ISA 3년 채운 사람은? → 연금계좌로 이체하면 ‘추가 세액공제’

의무보유 기간인 3년을 채운 ISA 잔액은 연금저축 또는 IRP로 옮길 수 있다.
이때 전환 금액의 10%를 추가 세액공제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ISA에 6000만원이 있었다면, 600만원이 세액공제 대상이 된다. 단, 전환 후에는 연금계좌 규정을 적용받기 때문에 중도 인출 제한 등에 유의해야 한다.

■ 사회초년생에게 가장 효율적인 조합

초년생이라면 다음의 순서를 기억하면 된다.

1. 연금저축 600만원

2. IRP 300만원

3. ISA 2000만원

여유 자금 발생 시 연금계좌에 추가 납입(세액공제는 안 되지만 연금소득세 혜택 유지)

즉 600·300·2000의 구조를 완성하면 절세와 장기투자를 동시에 잡을 수 있다.

■ 맞벌이 부부는 ‘각자 900만원’이 훨씬 유리

세액공제는 개인 단위로 적용되기 때문에, 한쪽 배우자에게 몰아넣는 방식보다 둘 모두가 각자 연금저축+IRP 합산 900만원을 채우는 것이 환급액이 더 크다. 부부의 소득 구간이 다를 경우 절세 차이는 더욱 벌어진다.

■ 결론: 연말정산은 ‘상품 선택’보다 ‘순서 싸움’

절세상품 자체는 어렵지 않다.
문제는 순서를 잘못 넣으면 혜택을 놓친다는 점이다.

핵심은 단 세 가지다.

· 연금저축 600: 가장 유연하고 투자폭 넓음

· IRP 300: 중도 인출 불가, 30% 안전자산 룰

· ISA 2000: 손익통산·비과세·3년 유지 조건

이 구조만 지키면 매년 최대 환급을 확보하면서 안정적인 노후자산을 쌓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