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북권의 주요 생활축을 연결할 핵심 교통 대안으로 평가받아온 강북횡단선이 예비타당성 조사 탈락 이후 좀처럼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 지역 주민들은 대규모 서명 운동까지 벌이며 조속한 재추진을 요구하고 있지만, 구조적으로 낮은 사업성이 해소되지 않는 한 다시 추진되기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 강북을 동서로 잇는 25.7㎞…교통 수요 분산이 목표였지만

강북횡단선은 양천구 목동에서 출발해 디지털미디어시티, 홍제, 정릉, 길음, 월곡을 거쳐 청량리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25.73km 경전철이다. 총 19개 역이 포함된 이 노선은 강남의 9호선을 북부에 대응하는 연결축으로 만들겠다는 의도에서 ‘강북판 9호선’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2019년 서울시가 이 노선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담으면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됐다. 극심한 동서 단절과 교통 소외 지역 문제를 해소하자는 요구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 경제성 지표 미달…예타 탈락의 핵심 원인

하지만 지난해 진행된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다. 비용 대비 편익(B/C)이 0.57에 불과해 기준값인 1을 넘지 못하며 사업성 부족 판정을 받았다.

예타 과정에서는 ▲수도권 통행량 감소 예상 ▲평창동과 정릉 등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 포함 ▲구릉지 지형으로 인한 공사비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 전체 통행량은 2030년 대비 2050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횡단선의 예상 승객 역시 장기적으로 줄어드는 흐름을 보여, 개통 이후 이용량이 감소하는 구조적 문제가 지적됐다.

■ 주민들은 강력 반발…수십만 명 서명에도 해결책은 난망

현장 분위기는 전혀 다르다. 노선 경유 지역 주민 수십만 명이 참여한 서명 운동은 “강북 교통 불균형 해소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는 절박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재추진까지는 적지 않은 벽이 남아 있다.
사업을 다시 궤도에 올리기 위해서는

· 서울 도시철도 10개년 계획 변경

· 국토교통부 심의

· 사전타당성 조사

· 기획재정부 예타 재도전

등 여러 절차를 처음부터 다시 밟아야 한다.
특히 사전타당성 조사가 최소 1년 이상 소요되는 만큼, “강북횡단선이 다시 속도를 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 전망: 필요성과 한계가 공존하는 ‘강북의 난제’

지역 교통 여건을 개선할 필요성은 분명하지만, 인구·수요 감소라는 현실적 조건이 사업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강북 횡단 노선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목소리는 여전히 높지만, 경제성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추진 동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결국 강북횡단선은
“지역의 절실한 요구”와
“재정·수요 기반의 냉정한 판단”
사이에서 여전히 답을 찾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