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겨냥한 납치·감금 사건이 잇따르자 한국 경찰이 전수조사 강화와 공조 채널 확대에 나선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13일 정례 브리핑에서 “캄보디아 내 한국인 범죄 피해 사망자 등 관련 사례를 확인하기 위한 전수조사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대학생 사망 사건을 계기로 속도가 붙었다. 경찰은 사건 가해자 3명이 현지에서 기소된 사실을 확인했으며, 수사기록 열람을 위해 캄보디아 당국에 10월 내 열람 허용을 요청한 상태다.

▲ “협조 난항…국제기구 통해 압박”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캄보디아는 다른 동남아 국가에 비해 경찰 간 협조가 원활하지 않다”며 “외교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지속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올해 1~8월 인터폴 경유 공조요청 20건 중 회신은 6건(30%)에 그쳤다. 경찰은 코리안데스크(현지 경찰청 내 한인 사건 전담) 설치, 경찰 영사 추가 배치, 국제 공조수사 인력 30명 보강 등을 추진한다. 다만 코리안데스크 신설은 MOU 체결·주권 문제가 얽혀 단기간 설치는 어려운 상황이다.


▲ 송환·신고 급증…피해 양상 ‘심각’

경찰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캄보디아에서 국내로 송환된 범죄인 147명(’21년 18명→’24년 48명)으로 증가세가 뚜렷하다. 외교부 집계에서도 취업사기 후 감금 피해 신고가 2021~2022년 한 자릿수에서 2025년 1~8월 330건으로 급증했다. 경찰은 ‘고수익 보장’ 해외 유인 글이 사건의 발단이 되는 점을 지적하며, 사이버수사대를 중심으로 구인·구직 플랫폼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보이스피싱 통합대응센터와 협력해 유인성 게시물 차단에 나선다.

▲ 신원확인 경위와 추가 수사

경찰은 8월 캄보디아 깜폿주 보코산 지역에서 변사자 지문 감식 요청을 접수한 뒤, 국과수 긴급 감정 결과를 현지 공관에 통보해 신원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사건 관련 피의자들이 국내 다른 사건(일명 ‘대치동 마약 사건’)과 연루됐다는 의혹에 대해선 수사 중이라고만 밝혔다. 유 직무대행은 “다음 주 캄보디아 경찰청 차장과의 양자 회담에서 코리안데스크 설치와 현지의 강력 대응을 공식 요구할 것”이라고 했다.

▲ 관건은 ‘협조률’…국제 공조·외교 동시 가동

경찰은 인터폴 등 국제기구를 통한 다자 압박과 양자 협의를 병행해 캄보디아의 협조를 이끌어내겠다는 입장이다. 실무적으로는 사건 기록 접근성 제고, 피해자 신속 신원확인, 유인형 온라인 게시물 선제 차단이 단기 과제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