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러시아산 석유를 수입하는 인도산 제품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로써 7일부터 발효되는 상호관세 25%에 더해, 미국이 인도에 부과하는 총 관세율은 50%로 치솟게 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조치가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을 통한 우회 무역을 차단하고, 대러 제재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백악관 발표에 따르면 “인도 정부가 러시아산 석유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수입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추가관세 부과 배경을 밝혔다.
이에 따라 미국 시장에 수입되는 인도산 석유 및 석유제품은 다음과 같은 관세율이 적용된다.
· 기존 상호관세: 25%
· 추가 행정관세: 25%
· 총 관세율: 50%
이 같은 초고율 관세는 인도를 압박해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를 낮추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대러 제재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는 양면 전략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미·인도 관계가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단계에 있지만, 에너지 안보 문제에서 미국은 제재 동참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도는 지난 수년간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확대해 왔으며, 국내 정제시설 가동률을 높이는 데 러시아산 저렴한 원유가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인도 정부는 이번 조치에 대해 “협의를 거쳐 합리적인 수준에서 해결책을 모색하겠다”고만 밝힌 상태다.
이로써 미국의 대(對)인도 관세 압박은 에너지 무역을 넘어 양국 간 무역·외교 관계 전반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