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8월 5일 경기도 가평군 신가평변환소를 방문해 전력인프라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실태를 직접 살폈다. 동해안~수도권 직류송전선로(HVDC) 1단계 종점인 이 현장은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핵심 설비로, 장관의 현장 행보는 연이어 발생한 산업재해에 대한 정부의 강력 대응 의지를 상징한다.
현장 점검 후 열린 에너지공기업 간담회에는 한전·한수원·발전회사 5곳(남동·남부·동서·서부·중부발전), 석유공사, 가스공사 등 주요 기관이 모두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최고경영자의 안전 의지, 충분한 예산·인력 투입, 현장 맞춤형 안전절차 확립 등 재발 방지 대책을 논의했다. 특히 “첨단 안전장비를 위험 구역에 우선 적용하고, 협력사 근로자까지 보호하는 상생형 산업안전 모델을 구축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김 장관은 간담회에서 “예방할 수 있는 중대재해가 재발할 경우, 중대재해처벌법과 별개로 산업부가 부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준의 패널티를 가하겠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불법 하도급·납품단가 후려치기 등 재해 유발 불법행위는 무관용 원칙으로 강력 대응할 것”이라며 “남은 하계 전력수급기간 중에도 국민 불편이 없도록 전력설비 운영·관리에도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현장 점검은 올 들어 잇단 에너지 공기업 사고에 대한 책임 추궁 차원으로, 정부는 앞으로도 정기 안전점검을 강화하고, 재해 취약 분야에 대한 감독을 한층 엄격히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공기업뿐 아니라 협력업체와 현장 근로자 모두가 안전 최우선이라는 공감대를 확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