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일 여당인 국민의힘을 의도적으로 배제한 채 조국혁신당·진보당·사회민주당·기본소득당 등 4개 진보·소수 야당 대표들과 순차적으로 면담을 진행했다. 지난 2일 당대표로 선출된 직후 “내란 세력에 대한 사과와 반성이 없으면 악수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강경 노선의 연장선으로, 여야 관계 재편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우원식 국회의장, 김민석 국무총리 예방을 시작으로, 이어서 조국혁신당과 진보당, 사회민주당, 기본소득당 대표를 차례로 만나 “윤석열 정부의 검찰 권력 남용을 막는 데 힘을 모아준 점에 감사드린다”고 화답했다. 특히 조국혁신당 전 대표에게는 “함께 투쟁해온 동지”라며 연대 의지를 강조하며, “여야의 협치가 아니라 공통의 목표를 향한 연대”라고 성격을 규정했다.
반면 국민의힘과 개혁신당 대표는 이날 예방 대상에서 제외됐다. 정 대표 측 관계자는 “국민의힘 측에서 ‘내란 중인 정당’이라는 표현에 대한 대국민 사과와 반성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정 대표는 당선 직후부터 “지금 대한민국은 내란 상황”이라며 “내란 세력과 협치는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밝힌 바 있다.
이러한 행보에 대해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야당 시절의 감정적 정치를 버리지 못하고 있다”며 “품격 있는 여당 지도자로서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비판했다. 곽규택 국민의힘 수석대변인도 “정 대표 본인이 국민의힘 측에 축하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안다”며 사과를 촉구했다.
정청래호의 ‘강경 노선’이 차기 국정 운영 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이재명 전 대표 시절에도 당·야 지도부 간 조기 회동이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정 대표의 선택적 만남은 여야 관계를 더욱 경색시킬 가능성이 크다. 향후 정 대표가 국민의힘과의 접점을 어느 시점에 어떻게 마련할지가 여야 협치와 국회 운영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