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밤 대전 유성구 화암동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리튬배터리 화재가 발생했다. 이곳은 정부와 공공기관의 주요 IT 시스템이 집결된 핵심 시설로, 화재 직후 다수의 전산서비스가 중단되며 전국적인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행정안전부와 소방청에 따르면 화재는 오후 8시 20분경 발생했으며,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는 40대 남성 1명 화상 부상과 약 100여 명 자력 대피다. 소방당국은 이산화탄소 소화기로 초기 진압을 시도했으나 불길이 재점화돼 결국 물 투입으로 전환, 배연 및 진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 중단된 정부 서비스
화재로 인해 ▲모바일 신분증 ▲국민신문고 ▲모바일 공무원증 등 1등급 12개, 2등급 58개 총 70개 시스템이 장애를 일으켰다. 이로 인해 중앙부처 홈페이지와 정부 e메일 시스템 접속이 전면 차단된 상태다. 다만 119 신고·접수·출동 시스템은 정상 운영되고 있으며, 영상신고·구급스마트 등 일부 기능만 부분적으로 차질을 빚고 있다.
▲정부 대응
행정안전부는 윤호중 장관 주재로 긴급 상황판단회의를 열고 위기경보를 ‘경계’ 단계로 격상, ‘위기상황대응본부’를 즉시 가동했다. 정부는 대국민 안내 메시지를 통해 장애 현황을 알리고, 업무 연속성 계획(BCP)에 따라 대체 경로를 마련해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화재 원인과 특성
전문가들은 이번 화재가 리튬이온 배터리 특유의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열폭주는 내부 단락으로 인해 온도가 단시간에 섭씨 1000도까지 치솟으며 화재가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다. 이 때문에 불이 꺼진 것처럼 보여도 재발화 위험이 크고, 진화에 장시간이 소요된다.
▲향후 과제
정부 전산망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기반 시스템인 만큼, 데이터 무결성 보장과 서비스 신속 복구가 핵심 과제가 될 전망이다. 또한 이번 사건을 계기로 공공기관 전산센터의 배터리 안전 설비·화재 대응 매뉴얼 전반에 대한 재점검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 이번 화재는 단순한 사건을 넘어, 디지털 국가 운영의 안전망이 얼마나 취약할 수 있는지 보여준 경고등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