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명동 상권과 주한 중국대사관 인근에서 이어져 온 ‘반중 집회’가 12일부터 명동 내부 진입이 전면 제한된다. 경찰은 좁은 도로에 인파가 몰리며 발생하는 혼잡, 혐오 발언과 소음으로 인한 민원, 안전사고 가능성을 주요 사유로 들었다.
서울 남대문경찰서는 이날 오후 보수단체 ‘민초결사대’ 등 일부 단체가 신고한 집회 및 행진에 대해 명동 진입을 금지하는 통고를 내렸다. 기존에는 명동 이면도로 내 집회를 일부 허용하되 중국대사관 100m 이내로 접근을 최소화하는 방식이었지만, 이번부터는 아예 진입 자체를 차단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는 상인들의 거듭된 요구가 반영된 결과다. 명동관광특구협의회는 “좁은 도로에 200~500명이 몰려 고성을 지르고 혐오 발언을 이어가 안전사고 우려가 크다”며 집회 제한을 요청해왔다.
실제로 명동 일대에서는 최근 보수단체들이 중국인을 비하하는 표현을 구호로 외치거나, 확성기와 북을 이용해 큰 소음을 유발하는 장면이 잦았다. 지난 7월에는 한 단체가 중국대사 얼굴이 그려진 현수막을 찢는 퍼포먼스를 벌여 중국대사관이 외교부에 항의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앞서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반중 집회에 대해 “표현의 자유가 아니라 사실상 깽판”이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주문한 바 있다. 경찰의 이번 조치는 이러한 정부 기조와 상인들의 요구가 맞물려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경찰은 앞으로 명동 내부 대신 인근 지역에서 집회를 이어갈 수 있도록 안내할 방침이며, 안전 확보와 상권 보호를 위한 현장 관리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