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퇴직 이후에도 연금을 받지 못하는 60~64세 국민이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금을 받는 이들도 대부분 월 100만 원이 채 안 되는 수준이어서 노후 빈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수입 끊겼지만…2명 중 1명 “연금 한 푼도 없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연금통계’에 따르면, 60~64세 연령층 가운데 퇴직연금·공무원연금·기초연금 등을 포함한 어떤 연금도 수령하지 못한 이들은 237만4000명(57.3%)**에 달했다. 반면, 연금을 수령한 사람은 177만3000명(42.7%)으로 절반을 밑돌았다.
이는 국민연금 수급이 시작되는 연령이 63세 이상으로 설정돼 있어, 그 이전 구간인 6062세 인구는 소득 공백이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실제로 6062세의 연금 수급률은 24.8%에 그쳤지만, 63~64세는 69.9%로 급등했다.
💰 받아도 평균 100만 원 남짓…25만~50만 원 구간 집중
연금을 받는 60~64세조차 월평균 수급액은 100만4000원에 불과했다. 특히 수급자 중 가장 큰 비중(29.8%)은 월 25만50만 원을 받고 있었으며, 그 뒤를 월 50만~100만 원 수령자(29.4%)가 이었다.
이는 기본 생계비조차 감당하기 힘든 수준으로, 은퇴 후 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소득 보완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65세 이상은 상황 나아졌지만…‘다층연금’은 여전히 숙제
반면, 65세 이상 고령층은 연금 수급 상황이 비교적 안정적이다. 이 연령대에서 한 가지 이상의 연금을 수급하는 인구는 전체의 90.9%에 달하며, 평균 수급액은 69만5000원으로 집계됐다. 2개 이상 연금을 동시에 받는 이들의 비율도 37.7%에 이른다.
하지만 전체 연금 수급자의 절반 이상이 여전히 월 25만~50만 원 수준의 소액 수령자라는 점에서, 다층적 연금 체계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정책적 보완이 요구된다.
🧓 편중된 수급 구조…‘은퇴 빈곤’ 현실화 우려
이번 통계는 국민연금 중심의 단일 연금 체계가 갖는 한계를 드러낸다. 국민연금 사각지대에 있는 비정규직, 자영업자, 경력 단절자 등이 수급 연령에 도달하더라도 실질 수령액이 적거나, 수급 요건 자체를 못 채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공적 연금의 보편성과 충분성을 동시에 강화하지 않으면 은퇴 이후 소득단절로 인한 빈곤 고착화가 가속될 수 있다"며 "기초연금 확대와 사적연금 활성화 등 다각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