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8일(현지시간) 대형 기술주 중심의 강세 흐름 속에 3대 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했다. 특히 나스닥 지수는 애플의 급등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206.97포인트(0.47%) 오른 44,175.61을 기록했다. S&P500 지수는 49.45포인트(0.78%) 오른 6,389.45,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207.32포인트(0.98%) 상승한 21,450.02로 거래를 마쳤다.
상승장의 중심에는 애플이 있었다. 애플은 미국 내 1,000억 달러(약 140조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이날도 4.24% 급등하며 시장 전체에 훈풍을 불어넣었다.
투자심리를 자극한 또 다른 요인은 ‘반도체 관세 예외’ 기대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반도체에 100% 관세를 부과하되, 미국 내 생산 기업에는 이를 적용하지 않겠다고 밝혀 반도체·기술주 전반에 매수세가 몰렸다.
연준(연방준비제도) 인사 교체도 호재로 작용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충성파’로 평가되는 스티븐 마이런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장을 연준 새 이사로 지명하면서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이 부각됐다.
시장 전문가들은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여전하지만, 반도체 예외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기술주 랠리가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며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역시 투자자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상승세로 뉴욕증시는 관세·정책 불확실성 속에서도 ‘기술주 중심의 탄력’을 입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다시 한 번 끌어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