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프리 엡스타인의 측근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기슬레인 맥스웰이, 8월 중순 예정된 하원 국토안보·정부개혁위원회의 소환 요청에 응할지 최종 결정을 미루고 있다. 맥스웰 변호인 데이비드 오스카 마커스는 “아직 어떤 특권을 행사할지 검토 중”이라며, 의원들의 소환장에 공식 답변을 내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DOJ 인터뷰 마친 뒤 전략 고심

맥스웰은 최근 사법부 고위 관계자(차관보급)와 2일간 인터뷰를 진행하며, 엡스타인 사건 관련 인물·조직 전반에 걸쳐 약 100여 명에 대한 질문에 답했다. 마커스 변호사는 “모든 질문에 성실히 답변했다”고 전했으나, 의회 증언과 관련해선 진술거부권(미국 수정헌법 5조)을 행사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검찰 측과 어떤 형태의 면책 특권 협의가 있었는지 여부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의회가 강제로 특권을 파기하지 않는 한 자발적인 증언 범위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면책이 부여되지 않으면, 맥스웰은 자신에게 불리한 진술을 거부할 법적 권리가 있다.


정치권, “신뢰성 검증 필요” 목소리

여야를 막론한 의회 주요 인사들은 맥스웰의 증언 가치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공화당 하원 원내대표는 “수십 년형을 선고받은 인물의 진술을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느냐”며, 증언 내용이 얼마나 사실에 기초했는지 검증이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일부 의원은 “검찰 인터뷰 이후에도 남은 의문점이 많다”며, 의회 차원의 소환이 추가 정보를 확보할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이처럼 정치권에서는 법적 절차와 증언의 효용을 두고 팽팽한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다.

향후 일정과 전망

현재 맥스웰 측은 8월 11일 소환 주간에 대한 최종 입장을 조만간 통보할 계획이다. 만약 진술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의회는 면책권 부여를 포함한 절충안을 제시하거나, 법적 다툼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크다. 한편, 맥스웰은 유죄 판결에 대한 항소 절차도 함께 진행 중이어서, 향후 법정·의회 투트랙 전략이 주요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