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연방준비제도(Fed)를 향해 노골적인 금리 인하 압박을 이어가며, 통화정책 독립성 논란이 재점화됐다. 자신의 보호무역 정책이 증시·경기에 호재라는 주장을 앞세워 “인플레는 없다”며 즉각적인 완화 전환을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내 관세 정책으로 주가 폭등”…SNS 자화자찬

10일(현지시간) 트럼프는 본인의 SNS(트루스소셜)를 통해 “내가 관세를 올린 뒤 엔비디아 주가가 47% 뛰었다”며 “기술주와 나스닥이 사상 최고치를 찍었고 가상화폐도 폭등했다”고 자랑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관세로 수천억 달러를 벌었다. 경제가 이렇게 강한데 왜 금리를 안 내리나”라며 연준이 ‘빠르게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트럼프는 이미 대선 후보 시절부터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해왔지만, 취임 후에는 연준 의장 제롬 파월을 향해 “너무 늦는 남자”, “멍청이” 같은 막말까지 동원하며 비난을 지속해 왔다.

백악관까지 나서서 파월 흔들기

같은 날 백악관은 연준 본부 건물 리모델링 비용을 문제삼아 파월 의장 개인의 ‘방만 경영’을 겨냥했다.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장은 SNS에서 “연준이 본부 리모델링에 25억 달러를 쓰는데 초기 예상보다 7억 달러나 더 썼다”며 “마치 베르사유궁전 짓는 수준”이라고 조롱했다.

이 발언은 명백히 파월의 리더십과 도덕성을 흠집내려는 의도가 깔렸다는 해석이 나온다. 특히 연준이 사상 첫 연간 적자를 기록 중이라는 점까지 거론하며 정치적 압박 수위를 높였다.

연준 내부도 ‘인하 vs 동결’ 갈등

연준(Fed)은 이달 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현재 연 4.25~4.5%) 조정을 논의할 예정이다.

그러나 관세발(發) 비용 전가와 서비스 물가 압력이 남아 있어 인플레이션 우려가 여전히 크다.
최근 공개된 6월 FOMC 의사록을 보면 위원 19명 중 10명은 올해 최소 두 차례 인하를 예상했지만, 7명은 올해 내내 동결을 전망해 의견이 팽팽히 엇갈린다.

“트럼프 관세가 물가 자극”…연준 독립성 시험대

경제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거친 압박이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관세가 제조업과 소비자 물가를 직접 밀어올린 상황에서 대통령이 금리 인하를 공개적으로 강제하는 건 전형적인 ‘포퓰리즘 경제’의 전조라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트럼프가 자신의 무역 정책이 주가를 부양했다고 자화자찬하면서도 그 정책이 불러온 물가 부담은 외면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결론

이번 사태는 단순히 트럼프 대 파월의 힘겨루기가 아니라, 미·중 무역전쟁 이후 이어진 보호무역정책의 비용과 통화정책 독립성이라는 미국 경제의 핵심 문제를 드러낸다.

금리 결정이 정치적 흥정의 도구로 전락할 위험이 커지는 가운데, 연준이 어떤 선택을 할지 전 세계 금융시장이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