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50% 관세 부과를 잇따라 선언하며 무역갈등의 불씨가 커지고 있다. 특히 브라질과의 외교·경제적 마찰이 격화되는 한편, 미국 내부에서도 환경·이민·교육·국방 정책을 둘러싼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브라질 대통령 “트럼프 관세? 즉각 보복조치 가능”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트럼프의 50% 관세 발표 직후 강경 대응을 시사했다. 브라질 법에 따라 상대국이 자국 경쟁력을 해치면 무역·투자·지재권 협정을 일시 중단할 수 있다는 ‘경제적 상호주의법’을 발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룰라는 “브라질은 주권국가이며 그 누구에게도 휘둘리지 않는다”고 일침을 놨다. 지난 15년간 미국이 브라질과의 무역에서 4천억 달러 이상 흑자를 냈다는 점도 거론하며 무역 불균형 문제를 정면으로 지적했다.

트럼프는 브라질 관세 부과 이유로 “전 대통령 보우소나루를 불공정하게 재판 중”이라는 점을 언급했다. 사적인 친분을 관세 카드로 활용했다는 비판이 미국 안팎에서 제기된다.

“국내 생산 늘린다”…구리에도 50% 관세 예고

트럼프는 또 반도체, 항공기,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구리에도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미국의 구리 산업을 다시 지배적 수준으로 키우겠다”며 중국의 정제 구리 시장 지배를 국가안보 위협으로 규정했다.

이번 조치는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전략금속까지 고관세로 보호하겠다는 ‘미국 우선주의’ 무역정책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이민자 검거 강화에 교회도 긴장…미사 의무 일시 면제

미국 내 이민 단속 강화도 여파를 낳고 있다. 남부 캘리포니아의 한 대규모 가톨릭 교구는 이민자 불안이 극심해지자 신자들의 주일 미사 참석 의무를 공식적으로 면제했다.

최근 교구 소속 성당 2곳에서 이민자 체포가 이루어지면서 교인들 사이에 “성당도 안전하지 않다”는 불안이 확산된 것이 배경이다. 주교는 “교회는 이민자 공동체와 함께할 것”이라며 연대 의지를 밝혔다.

美 연방정부, 트랜스젠더 청소년 의료시설 압박

트럼프 행정부는 연방 지원금 중단을 무기로 삼아 청소년 대상 젠더 확정 치료(성전환 의료)를 제공하는 병원을 압박 중이다. 미국 최대 규모의 LA 어린이병원 산하 트랜스유스센터가 7월 말 문을 닫기로 결정되자, 지역사회에서는 항의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이 센터는 30년간 공공의료보험을 통한 저소득층 청소년의 성별확정치료를 지원해 왔으며, 수천 명이 혜택을 받았다. 인권단체들은 이번 폐쇄가 “생명권을 위협하는 조치”라고 비판한다.

트럼프 행정부, 캘리포니아 고교 스포츠서 트랜스젠더 규제 소송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캘리포니아주가 고등학교 운동부에서 트랜스젠더 여학생의 출전을 허용하는 정책을 문제 삼아 연방 소송을 제기했다. 연방법 위반(Title IX) 주장과 함께 “여학생의 기회와 성취를 훼손한다”고 비판했다. 주정부 측은 이를 “정치적 쇼”로 일축했다.

IRS, 목사들의 정치후원 발언에 ‘면세 유지’ 해석 논란

국세청(IRS)은 교회가 특정 후보를 지지한다고 밝혀도 면세 자격을 잃지 않는다는 해석을 법원에 제출했다. 1954년 도입된 ‘존슨 수정조항’은 종교단체의 정치개입을 금지해왔지만, 이번 해석이 사실상 완화 신호로 해석된다. 트럼프는 이를 “훌륭하다”고 환영했다.

종교계 안팎에서는 “표현의 자유 확대”와 “교회 정치화 우려”가 엇갈린다.

미-중 유학생 갈등 격화…하원, 장학프로그램 단절 촉구

미국 하원 중국특위는 미국 대학들에 ‘중국 국가장학위원회’(CSC)와의 협력 중단을 요구했다. 이 프로그램이 “기술 이전과 중국 군사력 강화에 악용된다”는 이유에서다.

특위는 CSC가 미국 내 수백 명의 대학원생을 지원하지만 졸업 후 2년간 중국으로 귀국 의무를 지게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기타 주요 현안

우크라이나 무기지원 재개: 트럼프 정부가 한때 중단했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을 재개. 구체적으로는 155mm 포탄, 정밀유도 로켓 포함.

FAA 수장 인준: 연방항공청(FAA) 신임청장에 항공사 CEO 출신 브라이언 베드포드 인준. 안전규제 완화 우려도.

이스라엘-가자 휴전 중재: 트럼프는 “이번 주나 다음 주에 휴전 타결 가능성 있다”고 발언.

아프리카 외교: 트럼프, 아프리카 지도자들과의 회동에서 “언젠가 아프리카를 방문하고 싶다” 발언.

결론적으로, 트럼프의 재선 캠페인과 맞물린 강경·보호주의 노선이 무역, 이민, 성소수자 권리, 대외정책 전반에서 긴장과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