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기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시민들이 지원 자격과 지급 일정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국민비서’ 서비스 이용자가 1700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국민비서는 정부가 보유한 행정 정보를 국민에게 능동적으로 제공하는 알림 플랫폼이다.


이 서비스의 핵심은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정부가 먼저 알려주는 것”. 세금 고지나 건강검진 안내처럼 일상적 알림은 물론, 올해부터는 경기 부양을 위한 소비쿠폰 정보까지 통합 제공한다.

특히 7월 14일부터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대상, 금액, 사용기한 등을 맞춤형으로 알려주는 알림이 발송된다. 소비자는 별도의 검색이나 문의 없이 앱에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가입도 간단하다. 전용 앱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고, 카카오톡·네이버·토스 등 17개 민관 협력 앱에서 ‘국민비서’ 알림을 신청하면 된다. 이 때문에 정부는 “국민비서를 사칭한 앱 설치를 유도하는 사기가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서비스는 만 14세 이상이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현재 세금, 보험, 교통, 교육, 건강 등 90여 종의 생활 정보를 지원한다.

정부는 이번 소비쿠폰 정책이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중심으로 지역 소비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실제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는 소비 활성화를 독려하는 안내판이 걸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국채 발행으로 재원을 마련해 결국 국민 부담이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재정건전성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이번 추경과 소비쿠폰 정책이 경기 회복과 취약층 지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한다.

결국 관건은 소비쿠폰이 소비를 얼마나 실질적으로 늘릴지, 그리고 이를 통해 지역 상권이 어느 정도 숨통을 틀 수 있을지에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