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초고속 고령화와 조기 퇴직으로 인한 중장년 소득 공백(크레바스) 15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대적인 일자리 정책을 내놨다. 핵심은 ‘복지’ 중심에서 벗어나 ‘일자리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이다.
■ 왜 중장년 일자리가 문제인가
현재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4명이 중장년(40~64세)이며, 서울만 해도 약 362만 명이 해당한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 평균 퇴직 나이는 49.4세
· 국민연금 수급 시작까지 15년의 소득 공백
· 희망 은퇴 연령(73세)과 실제 은퇴 시점의 간극은 무려 23년
즉, ‘허리세대’라 불리는 중장년층이 일하고 싶어도 지속 가능한 일자리가 부족한 상황이다.
■ 서울시·50플러스재단, 대규모 조사 기반 정책 마련
서울시와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국내 지자체 최초로 중장년 구직자 1만 명·기업 429곳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수요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는 현실적이고도 절박하다.
· 83%가 향후 5년 내 이직·재취업·직업 전환을 원함
· 구직 이유 1위는 생계유지(82.3%)
· 최우선 고려 요소는 임금 수준(62.3%)
· 희망 임금: 월 381만 원, 수용 가능 임금: 월 331만 원 → 타협 가능한 ‘임금 밴드’ 확인
연령·성별별 선호 차이도 뚜렷했다.
· 40대: 정규직(86.8%), 전일제(61%) 선호
· 50대: 무기계약직·기간제 수용 비율 상대적으로 높음
· 60대: 사회공헌·시간제 일자리 선호
· 남성: 관리직·야간근무 가능성 높음
· 여성: 주30시간 미만 근로, 사무직 선호
서울대 조태준 교수는 “연령대별로 요구가 다르므로, 맞춤형 정책 설계가 필수적”이라고 분석했다.
■ 기업이 원하는 중장년 인재상
기업 조사에서는 중장년 인재에 대한 기대와 현실의 간극도 드러났다.
· 선호 역량: 책임감(71.3%), 문제해결 능력(41.7%), 신기술 활용 역량(40.7%)
· 채용 업종: 제조업(25.3%), 도소매, IT·전문서비스, AI·빅데이터 관련 신기술 분야
· 정책 지원 요구: 직접 고용지원금(63.9%) 우선
서울과기대 정흥준 교수는 “기업은 단순 노동력이 아닌 즉시 투입 가능한 기술 인재를 원하며, 이에 맞춘 정책 인센티브와 매칭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서울시가 제시한 5대 정책 방향
서울시는 이번 조사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 로드맵을 내놨다.
· 중장년 고용 창출 확대 – 제조·신기술 분야 중심 신규 채용 확대
· 생애주기별 경력 전환 지원 – 40대는 신기술 교육, 50대는 경력 전환, 60대는 사회공헌형 일자리
· 수요·공급 매칭 강화 – 기업과 구직자 간 맞춤형 매칭 플랫폼 구축
· 유연한 노동시장 조성 – 시간제·기간제·재택형 근로 도입 확대
· 생계보장형 사회참여 일자리 내실화 – 단순 알바형이 아닌, 지속 가능한 소득 보장 일자리 개발
■ 핵심 실행 플랫폼: ‘중장년취업사관학교’
정책 실행의 중심에는 내년 3월 출범하는 ‘중장년취업사관학교’가 있다.
· 위치: 마포·광진·은평·도봉·구로구 등 5개 권역 캠퍼스
· 서비스: 경력 진단 → 맞춤형 훈련 → 1:1 일자리 매칭 원스톱 지원
· 목표: 연 1만 7천 명 지원, 2028년까지 전국 16개 캠퍼스로 확대
서울시는 단순 재취업 지원을 넘어, ‘데이터 진단→정책→현장 실행’의 선순환 구조를 통해 중장년 일자리 문제를 풀겠다는 전략이다.
■ 오세훈 시장의 메시지
오세훈 서울시장은 “중장년은 위기의 순간 판세를 바꿀 수 있는 ‘베테랑’”이라며 “이들이 다시 빛날 무대를 서울시가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