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임대아파트’가 내 집 마련이 막막한 서민층의 현실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전세시장 불안이 맞물리며, 장기 거주를 보장하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대주택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다주택자의 신규 주담대가 사실상 막히고, ‘갭투자’에 활용되던 전세대출도 차단됐다. 전세 공급이 줄고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가운데, 대출 한도 축소로 세입자의 자금 조달 여력도 크게 위축됐다. 이 때문에 전세사기나 미반환 리스크까지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임대주택은 전세사기를 우려할 필요가 없고, 장기간 거주 안정성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민간임대는 최대 10년까지 거주할 수 있고 임대료 인상률은 연 5% 이내로 제한된다. 일부 공공지원 민간임대는 초기 임대료가 시세의 80~95% 수준으로 책정돼 더 저렴하다.

공공임대의 경우 소득 기준은 더 엄격하지만 임대료 부담은 확실히 낮다. 국민임대는 도시근로자 소득의 7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하고 최장 30년까지 거주가 가능하다. 행복주택은 소득이 100% 이하인 가구를 위한 유형으로, 임대료는 시세의 60~80% 수준에 거주기간은 최대 20년까지 가능하다.

하반기에도 다양한 임대주택이 분양을 앞두고 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양주, 파주, 시흥 등 민간임대 단지들이 11월 공급을 준비 중이다. 공공임대는 인천 부평, 계양, 경기 부천, 양주 등지에서 물량이 나온다. 특히 양주회천의 국민임대 단지는 1000세대 규모로 최대 30년 장기거주가 가능해 관심이 높다.

전문가들은 임대주택 청약을 고민할 때 임대료 경쟁력과 확정분양가 조건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고 조언한다. 최근에는 확정분양가와 임대료 동결 조건을 앞세운 단지들이 지방에서도 높은 경쟁률을 기록 중이다.

결국 “30년 안심 거주”라는 슬로건은 단순한 광고 문구를 넘어, 집값 급등과 대출 규제에 시달리는 실수요자들에게 점점 더 현실적인 대안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