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역 의료체계 강화를 위해 추진하는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이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보건복지부는 24일 열린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관련 시행방안을 심의·의결하고, 상반기 중 참여기관을 선정해 하반기부터 사업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무엇이 달라지나

이 사업은 포괄적 진료역량을 갖추고 응급진료 등 필수 의료기능을 수행하는 지역 종합병원을 발굴·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원 대상은 다음 요건을 충족하는 병원이다:

의료기관 인증 획득

지역 응급의료기관 이상의 역할 수행

수술 및 시술(DRG) 350개 이상 수행

포괄 2차 종합병원으로 선정된 의료기관은 ▲적정진료 강화, ▲진료 효과성 제고, ▲지역 의료문제 해결, ▲진료협력 체계 구축 등 4대 기능 혁신을 수행해야 한다.

성과 중심 지원 체계 도입…연간 7천억 원 투자

정부는 기능 혁신을 유도하기 위해

24시간 중등도 환자 진료 등 필수 기능을 지원하고,

성과에 따른 성과지원금 형태로 연간 약 7,0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이 지원을 통해 2차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고,
상급종합병원은 중증 환자 치료에 집중하는 지역 완결형 의료전달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방침이다.

상반기 중 참여기관 선정 예정

복지부는 올 상반기 안에 지원사업 참여 병원을 선정하고, 하반기부터 실제 지원을 개시할 예정이다.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병원은 기능 혁신 이행성과에 따라 차등적으로 성과금을 받게 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현재 상급종합병원이 중증 중심으로 전환되는 상황에서, 2차 병원의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별 의료자립도를 높이고, 국민 접근성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