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6학년도 의과대학 입학정원을 3,058명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으며, 관련 최종 발표가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2024년 발표됐던 2,000명 증원안의 연장선상에서 의료 인력 부족 해소를 위한 핵심 정책으로, 향후 지역 의료체계와 공공의료 강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 전국 의대 정원, 40년 만의 대규모 개편…현행보다 1,500명 이상 증가
현재 전국 40개 의과대학의 입학정원은 연간 3,058명으로 설정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2024년 기준 3,058명 중 2,058명을 기존 정원으로, 1,000명을 한시적 증원(지정 대학 우선 적용)했던 것과 유사한 구조다.
보건복지부와 교육부는 정원 확대를 공식화하는 브리핑을 조만간 진행할 예정이며, 이 수치는 현재 복수 시나리오 중 가장 유력한 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1980년 이후 사실상 정원 동결이 유지돼왔던 만큼, 이번 증원은 사실상 40년 만의 정원 재조정이다.
❚ 증원 배경은? “지역 의료 공백, 고령화 대응”
정부는 이번 조치가 단순한 입시 정책이 아니라 '공공의료 수요 대응'과 '지역 의료 인프라 개선'을 위한 구조적 개편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지방 중소도시와 농어촌의 전문의 부족, 응급의료 공백, 필수 진료과 기피 문제가 지속되어 왔고,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의료 수요는 향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건복지부 고위 관계자는 “의대 정원 증원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향후 10년 간 공공의료와 필수과목 수요를 중심으로 인력 재편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 의료계 반발 여전…의사협회 “총파업 불사” 입장도
하지만 의료계, 특히 대한의사협회와 의대 교수단체는 정원 확대에 여전히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의협 측은 “공급만 늘린다고 지역의료 공백이 해결되지 않는다”며, “질 낮은 의사 양산과 의료의 질 하락, 의료전달체계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부 단체는 총파업 가능성도 시사하고 있어 정책 추진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 학생·학부모 혼란…입시 전략에 변화 불가피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과 학부모들 사이에서도 혼선이 적지 않다.
정원 증가가 경쟁률 하락, 커트라인 변화, 지역인재 전형 확대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2026학년도 입시 전략은 대대적인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의대 선호도가 높은 경기권, 수도권 상위권 대학들에 정원이 어떻게 배정되는지에 따라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등의 의대 커트라인에도 변동이 생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