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최근 개최한 ‘중장년 정책포럼2025’에서는 구직자와 기업 간 임금 기대치의 큰 간극이 드러났다. 서울 중장년 구직자의 평균 희망임금은 381만 원, 현실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준은 331만 원으로 조사됐다. 반면 기업이 제시할 수 있는 임금은 대체로 200만~300만 원 미만에 머물러 양측의 시각차가 뚜렷하다.

전문가들은 기업이 중장년 인력에서 책임감, 문제 해결 능력, 기술 역량을 높게 평가하고 있어 즉시 현장 투입 가능한 실무형 인재를 선호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채용 의향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급여 수준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금 확대, 맞춤형 직무훈련, 인재 매칭 프로그램 강화가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서울시는 중장년 일자리를 단순한 복지 차원이 아니라 국가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보고 있다. 내년 3월 개관 예정인 ‘중장년 취업사관학교’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해 구직자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중장년 정책은 선택이 아니라 대한민국 지속가능성을 위한 필수 과제”라며, 평생 일할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결국 중장년 일자리 해법은 ‘임금 현실화’와 ‘공공-민간 협력 강화’라는 두 축에서 풀어야 할 숙제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