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대규모 불법체류자 단속이 벌어지면서 협력사 직원까지 포함해 300여 명이 구금된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 최고인사책임자(CHO) 김기수 전무가 긴급히 미국으로 출국했습니다.

▷ 사태의 발단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HSI)은 조지아주 서배나 지역의 HL-GA 배터리 공장에서 대대적인 단속을 실시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소속 인원 47명(한국인 46명, 인도네시아인 1명)

·협력사 직원 약 250명
총 300여 명이 구금되었으며, 현대차 소속 인력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LG엔솔의 대응

김기수 CHO는 7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출국 직전 기자들과 만나

“직원들과 협력업체 인력의 조기 석방이 최우선 과제”라며
“정부와 긴밀히 협조해 모두가 안전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밝혔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필요 의약품 전달, 구금자 면회 추진, 통신·연락 가능 조치 등을 위해 미국 현지 당국과 협의에 나선 상태입니다.

▷ 정부의 입장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미국 법 집행 과정에서 우리 국민의 권익과 투자 기업의 활동이 부당하게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며

·주미대사관 및 주애틀랜타총영사관을 중심으로 총력 대응을 지시했습니다.

또한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은 미국 국무부와의 통화에서 유감을 표명하고, 조속한 문제 해결을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파장과 전망

이번 사태는 단순한 불법체류 단속을 넘어,

한국 대기업의 미국 내 투자 안정성

현지 협력사 고용 구조 관리

한미 외교 관계의 신뢰도
등과 직결된 민감한 사안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차는 향후 미국 내 고용 관리 체계를 재정비해야 하며, 정부 차원의 외교적 해결 노력도 장기적 관점에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정리하면, 이번 사태는 단순히 기업 차원의 위기 대응을 넘어 한국의 대미 투자 환경과 글로벌 공급망 관리 체계까지 시험대에 올려놓은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