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플랫폼의 CEO 마크 저커버그가 AI 패권 경쟁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 대규모 데이터센터 건설을 공식화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인프라 확장이 아니라, 메타가 독자적이고 지속가능한 AI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전략적 투자로 평가된다.
저커버그는 14일(현지시간) 자사 SNS인 '스레드(Threads)'를 통해 여러 개의 초대형 데이터센터를 건설 중이며, 그중 일부는 내년에 시범 가동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중 첫 번째 데이터센터의 코드명은 '프로메테우스'로, 2026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는 특히 이번 데이터센터들이 **'기가와트(GW)급 클러스터'**로 설계된다고 강조했다. 이는 원자력발전소 1기 규모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수준으로, 첨단 AI 학습과 추론을 지원하기 위해 방대한 GPU 연산 자원과 전력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점을 방증한다.
저커버그는 “이 중 일부 클러스터는 맨해튼 상당 면적을 차지할 수 있는 규모”라며, 두 번째 대형 클러스터인 '하이페리온(Hyperion)'의 경우 향후 최대 5GW급으로 확장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러한 설계는 단일 시설로도 전 세계적인 AI 수요를 처리할 수 있도록 계획된 것이다.
메타의 이번 계획은 업계에서도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글로벌 데이터센터는 수백 메가와트(MW) 단위로 운영되며, 오픈AI나 오라클 등 일부 선도 기업만이 기가와트급 데이터센터 구축을 구상해왔다.
저커버그는 또한, 메타가 AI 경쟁에서 자체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수천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충분히 실행할 재무적 역량도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광고 사업의 안정성을 강조하며, 대규모 AI 투자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발언으로도 해석된다.
메타의 이러한 움직임은 최근의 AI 인재 확보 경쟁과 맞물려 있다. 회사는 인간 수준을 뛰어넘는 AI를 목표로 한 ‘메타 초지능 연구소’를 설립하고, 스케일AI의 공동 창업자인 알렉산더 왕을 영입하는 등 전략적 스카우트에 거액을 투입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