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권 고급 아파트 시장이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에 직격탄을 맞고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 특히 상징적 프리미엄 단지로 꼽히는 압구정동 일대에서 수억 원이 넘는 급락 거래가 발생하며 시장 심리에 충격을 줬다.

부동산 중개업계에 따르면 최근 압구정 구현대3차 아파트 전용 108㎡가 50억 원 초반대에 거래됐다. 이는 올해 시세로 60억 원을 넘나들던 것과 비교해 10억 원 이상 낮은 가격이다. 급매물이 나오자 단시간 내에 계약이 이뤄졌다는 전언이다.


이 같은 가격 조정은 이재명 정부가 지난달 말부터 시행한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가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목된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범위를 확대하면서 대출 여력이 크게 줄어들자, 투자 심리가 급속히 위축됐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규제 시행 직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서울시 부동산 정보에 따르면 규제 직전 주와 비교해 거래량은 65%가량 줄었고,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의 감소 폭은 77%를 넘었다. 거래금액도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급락이 단기적 현상에 그칠지, 아니면 장기적인 조정 국면의 신호탄이 될지를 두고 의견이 엇갈린다. 일부는 정부가 향후 추가 규제와 공급 확대를 병행하면 시장 안정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보는 반면, 규제가 일회성에 그친다면 가격이 다시 반등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수요 억제와 공급 확대를 함께 추진해 시장을 근본적으로 안정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추가로 DSR 단계 확대나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온투업) 대출 규제 등의 방안도 예고한 상태다.

다만 시장에서는 “강도 높은 규제 신호에도 불구하고 강남권 주택 선호는 여전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규제 직후 다소 둔화했지만, 여전히 플러스권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번 규제가 시장 체질을 바꿀 계기가 될지, 아니면 단발성 충격으로 끝날지는 향후 정부의 정책 강도와 실행력에 달려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