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물건이 안 나가요. 아침부터 저녁까지 한 개도 못 팔 때도 있어요.”
서울의 한 전통시장 과일 상인이 털어놓은 말입니다. 요즘 이들을 가장 힘들게 하는 존재는 놀랍게도 ‘대형마트’가 아니라 ‘식자재마트’입니다.

사진출처 = yestv뉴스, 유튜브


📦 '장사꾼의 마트'에서 '소비자 마트'로 변신

원래 식자재마트는 음식점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을 위한 도매 매장이었습니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일반 소비자도 이용할 수 있도록 문을 활짝 열고, 할인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습니다.

무게를 재지 않고도 싸게 파는 과일, 산지보다 저렴한 계란, 소분된 육류 세트까지. 전통시장에서나 볼 수 있던 풍경이 이제는 식자재마트 안에서도 흔한 장면이 됐습니다.

⚖️ 왜 이렇게 강해졌나?

비결은 간단합니다.

규제 회피: 식자재마트는 법적으로 대형마트가 아니기 때문에 '의무휴업', '심야영업 금지' 같은 규제를 받지 않습니다.

낮은 가격: 납품업체에 강한 가격 조건을 걸고 대량 매입해 단가를 낮춥니다.

미끼상품: 계란 한 판을 원가 이하로 판매하면서 사람들을 끌어모읍니다.

그 결과, 소상공인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납품을 지속해야 하고, 주변 상권은 고객을 뺏기며 가게 문을 닫고 있습니다.

🧾 문제는 법이 아니라 현실

현행법상 매장 규모가 3,000㎡ 미만이고, 연 매출이 1,000억 원을 넘지 않으면 유통산업발전법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바로 이 점을 파고든 식자재마트는 지금도 무제한 확장 중입니다. 새벽배송까지 뛰어든 곳도 많아졌죠.

하지만, 그 사이 동네 슈퍼와 시장 상인은 하루가 다르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 해결책은 없을까?

소상공인 단체는 “식자재마트도 이제는 대형마트처럼 취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현재 국회에는 관련 규제 법안들이 여럿 계류 중입니다. 하지만 경제 활성화라는 이름 아래 규제 논의는 항상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습니다.

🧩 앞으로의 유통은 어떻게 가야 할까

식자재마트의 약진은 유통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흐름입니다. 하지만 이 변화가 ‘공정하지 않다면’, 언젠가 시장 전체에 역풍이 불 수밖에 없습니다. 유통 구조의 양극화가 심화되면, 피해는 결국 소비자에게 돌아오게 되어 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