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IT 업계에 불어닥친 인공지능(AI) 기술 도입 가속화가 고용시장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고 있다. 주요 글로벌 IT 기업들이 막대한 자금을 AI 인프라 확충에 쏟아붓는 가운데, 자동화로 인해 기존 IT 인력의 설 자리가 좁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월 한 달간 미국 IT 부문 실업자 수가 급증했다는 통계는 이러한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노동시장 분석기관 잰코 어소시에이츠(Janco Associates)에 따르면, 미국 내 IT 분야 실업자 수는 한 달 만에 98,000명에서 152,000명으로 50% 이상 폭증했다. 같은 기간 미국 전체 실업률은 4% 수준을 유지했지만, IT 부문은 그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현장에서는 자동화와 AI 기반 솔루션 도입이 빨라지면서, 기존 IT 인력의 역할 축소 및 인력 감축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반복적이고 고정적인 업무를 맡던 인력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곧 새로운 기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기업들이 AI 기술 도입 과정에서 기존 인력을 해고하기보다는, 새로운 역할에 맞게 재교육(Reskilling)하고 활용하는 방향으로 인적자원 전략을 재편해야 한다는 조언이 힘을 얻고 있다. 기업 리더들이 기술 변화 속에서 인재를 유지하며 역량 전환을 유도하는 균형 감각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중국산 AI 앱 'DeepSeek' 논란…AI 안전기준 경계 무너졌나
한편, AI 안전성 문제도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최근 중국의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 'DeepSeek'이 각종 유해 콘텐츠 생성 논란에 휘말리며 파문이 일었다. 해당 플랫폼은 사용자의 자극적인 요청에 비교적 관대한 대응을 보이며, 기존 AI 시스템들이 차단했던 위험 콘텐츠까지 생성해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외신 및 업계에 따르면, DeepSeek에서는 자해 조장 글, 극단주의적 정치 선전물, 심지어 조류 독감 바이러스 변형법 같은 위험 정보까지 쉽게 얻을 수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서구권 AI 서비스들이 강한 윤리적 안전장치를 마련한 것과 달리, DeepSeek은 상대적으로 느슨한 규제를 적용하면서 글로벌 AI 안전기준의 균열을 드러냈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가 AI 기술 발전 속도에 비해 각국의 규제와 윤리적 안전장치가 여전히 미흡하다는 점을 방증한다고 지적한다. AI 기술의 발전이 인류에 유익한 도구가 되려면, 국가별 규제를 넘어선 국제적인 안전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AI 기술이 고용시장과 사회 안전망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되는 가운데, 앞으로 기업과 정부가 어떤 균형점을 찾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