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23일 일본, 25일 미국과 잇달아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번 외교 무대의 핵심 키워드는 ‘통상과 안보의 동시 관리’다. 경제와 외교, 두 축을 동시에 풀어내야 하는 만큼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라는 대통령의 기조가 첫 시험대에 오르는 셈이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은 단순한 의전 외교를 넘어 한국의 대미·대일 전략적 포지셔닝을 재정립하는 기회로 평가된다. 대통령실은 이를 위해 주미·주일대사를 잇달아 내정하며 외교 채널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이 주미대사, 이혁 전 주베트남대사가 주일대사로 각각 낙점된 것으로 알려졌다.

■ 한일 정상회담 (23일)

· 셔틀외교 재가동 이후 첫 양자 회담이라는 상징성

· 전략산업 공동 프로젝트, 인력 교류, 표준 협력 등 경제 의제 논의 예상

· 과거사·수출규제 등 민감한 현안도 제한적 언급 가능성

· 이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에서 “일본은 미래 동반자지만 과거사 직시 필요” 발언


■ 한미 정상회담 (25일)

· 상호관세 15% 적용, 대미 투자펀드 세부 협의가 주요 의제

· 비관세 장벽, 통화·규제 문제 등 통상 전반 점검

· 국방비 증액, 주한미군 운용 조정 등 ‘동맹 현대화’ 논의

· 반도체·배터리·조선·핵심 광물 등 공급망 공동 설계가 핵심 과제

⚖️ 외교 균형 전략

이 대통령은 한미·한일 연쇄 회담 사이에 대중(對中) 특사단을 파견할 계획이다. 박병석 전 국회의장을 비롯한 정치권 인사가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미·일과의 협력 속에서도 중국과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 국내 준비 분위기

대통령실은 이번 주를 ‘순방 준비 주간’으로 설정하고 매일 회의를 열며 의제 점검에 나서고 있다. 또한 3실장(비서실·정책실·안보실) 기자간담회를 통해 정부의 외교·안보·경제 기조를 공개적으로 설명할 예정이다.

재계 인사들과의 간담회도 준비 중이다. 표면적으로는 미국 협상 과정에서 기업 지원에 대한 감사 자리지만, 실제로는 정부의 통상 협상 방향을 공유하고 기업의 의견을 수렴하는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한미·한일 정상회담은 이재명 정부가 내세운 “국익 실용외교”의 성패를 가늠하는 시험대다. 일본과의 협력에서 나온 메시지가 미국 협상 테이블에서 한국의 지렛대가 될 수 있는 만큼, 대통령의 외교적 ‘수 싸움’이 본격적으로 시험받는 무대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