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원전 수출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전망입니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미국 웨스팅하우스(WEC)와 합작사(JV) 설립을 논의 중이라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 합작사가 설립되면 기존의 까다로운 수출 제한을 벗어나 전 세계 시장으로 뻗어나갈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됩니다.
■ 지재권 족쇄, 풀릴 수 있을까
그동안 한수원은 WEC와 맺은 지식재산권 합의 때문에 큰 제약을 받아왔습니다.
미국·캐나다·영국·EU 일부 국가 등에서는 원전 수주 활동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상태였죠.
이 때문에 기술력이 있어도 막상 뛰어들 수 있는 시장은 제한적이었고, ‘불공정 계약’ 논란까지 일었습니다.
하지만 합작사가 만들어지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합작사는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사업을 전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상 이번 JV는 기존 족쇄를 우회할 수 있는 전략으로 평가됩니다.
■ 양측 모두 필요한 선택
업계에서는 이번 협력이 서로의 이해관계가 잘 맞아떨어진 결과라고 보고 있습니다.
한수원은 안정적으로 수출 활동을 이어갈 수 있고,
WEC는 K-원전 공급망을 확보하면서 시장 내 입지를 다질 수 있습니다.
게다가 EDF(프랑스전력공사) 등 유럽 경쟁사의 견제도 피할 수 있어 양측 모두 윈윈 효과가 기대됩니다.
■ 남은 숙제는?
물론 풀어야 할 과제도 많습니다. 합작사 지분을 어떻게 나눌지, 수익을 어떻게 배분할지, 또 미국 시장에서는 누가 주도권을 가질지 등 세부 조율이 필요합니다.
특히 지금까지 미국 시장은 한국전력의 담당 영역이었는데, 합작사가 미국 신규 사업을 추진할 경우 한수원이 직접 나서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모회사(한전)와 자회사(한수원) 사이에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우려입니다.
■ 정부도 체계 개편 검토
정부도 이 문제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원전 수출 체계 개선을 위한 자문 용역에 착수했으며, 내년 상반기 중 결과를 내놓을 예정입니다. 업계에선 이번 합작사 설립 논의가 그 개편 논의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정리하자면, 이번 합작사 구상은 한국 원전이 다시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의 창’입니다. 다만, 내부 갈등 조율과 정부 차원의 체계 개편이 병행되지 않는다면 또 다른 잡음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