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국내 자영업자들이 외식업 운영 과정에서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요소로 '배달앱 수수료'를 꼽았다. 이로 인해 절반에 가까운 점주가 메뉴 가격 인상을 단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최근 외식업 점주 5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경영 부담 요인 중 배달앱 수수료가 평균 5.68점(7점 만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이어 세금(5.46점), 식재료비(5.41점), 공과금(5.38점), 고용인 인건비(5.34점), 임차료(5.30점) 순이었다.
특히 카페·베이커리·디저트 업종 점주들이 배달앱 수수료 부담을 가장 크게 체감했다(6.07점). 이는 해당 업종이 배달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설문에 참여한 점주의 47.6%는 배달앱 수수료 부담 증가로 인해 메뉴 가격을 올린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또 34.8%는 배달앱 주문 메뉴 가격을 오프라인 매장보다 높게 책정하는 '이중 가격' 정책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수도권 지역의 개인 운영 카페·베이커리 업체가 가격 인상을 가장 많이 시행했으며, 비프랜차이즈 중화요리점은 배달앱과 매장 가격을 다르게 책정한 사례가 가장 많았다.
메뉴 가격 인상 폭은 평균 1,858원으로 조사됐으며, 배달앱과 매장 간 이중 가격 차이는 평균 2,114원에 달했다.
한편, 오는 26일부터 시행 예정인 '차등 요금제'에 대해 점주 26%만이 수수료 부담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차등 요금제는 사업장의 배달 매출 비중에 따라 수수료율을 차등 적용하는 제도다.
또한 공공배달앱 활성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점주는 44.4%로 나타났다. 이는 민간 배달앱의 높은 수수료 부담에 대한 대안으로 공공배달앱을 고려하는 점주가 적지 않음을 시사한다.
자영업자들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비용 부담 속에서 생존을 위해 메뉴 가격 인상과 같은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자영업자와 플랫폼, 정부 간의 상생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