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와 트럭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전격 발표하면서, 국내외 자동차 산업과 소비자 시장에 큰 파장이 예상된다.

이번 조치는 완성차와 트럭 등 모든 수입 차량에 일괄 적용되며, 시행 즉시 미국 내 자동차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약 절반 이상이 해외에서 수입된 차량이라는 점에서, 실질적인 소비자 부담이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트럼프 “미국 산업 보호”…보호무역주의 기조 재점화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발표를 통해 “이번 조치는 미국 자동차 산업을 외국 경쟁자로부터 보호하고, 미국 내 생산 및 일자리를 활성화하기 위한 결정”이라며 강한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다시 한 번 드러냈다.

그는 또한 “미국 노동자가 정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외국산 차량이 미국 시장을 잠식하는 것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발언은 2018년 재임 당시 철강·알루미늄에 고율 관세를 부과했던 정책의 연장선으로 해석되며, 2024년 대선 재출마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경제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소비자 부담↑…일부 브랜드는 가격 재조정 불가피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일본, 독일, 한국 등 주요 자동차 수출국 브랜드에 직격탄이 될 것이라고 분석한다. 특히 토요타, BMW, 현대차, 폭스바겐 등은 미국 내 판매량의 상당 부분을 수입차에 의존하고 있어, 가격 인상 및 소비 심리 위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컨설팅기업 앨릭스 파트너스는 “차량 한 대당 평균 3,000~5,000달러가 추가로 인상될 수 있으며, 일부 고급 모델은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국제 사회 반발 가능성…무역 분쟁 재점화 우려

이번 관세 발표에 따라 주요 자동차 수출국들과의 외교·무역 마찰이 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유럽연합(EU)과 일본 정부는 아직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았지만,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및 보복 관세 부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 부과가 세계 교역 질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책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정치권 반응은 엇갈려…노동계는 환영, 자유무역 지지파는 우려

미국 정치권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일부 공화당 의원들과 자동차 산업 노동자 단체는 “미국 일자리 보호를 위한 정당한 조치”라며 트럼프의 결정을 지지하고 있다.

반면 민주당 의원들과 일부 중도 성향 인사들은 “소비자 부담 증가와 함께 글로벌 무역 질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자유무역을 지지하는 경제계 인사들 역시 “보호무역은 장기적으로 미국 제조업에 역효과를 줄 수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