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Amazon)이 자사 웹사이트에 상품 가격 옆에 관세 부담액을 표시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이에 대해 공식 해명에 나섰다. 백악관은 해당 보도 직후 이를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라며 강하게 반발했으며, 아마존 주가는 하루 동안 큰 변동을 겪었다.


이번 논란은 미국 정치 전문 매체인 펀치볼 뉴스(Punchbowl News) 가 "아마존이 각 상품별로 관세로 인한 추가 비용을 표시하는 방안을 준비 중"이라고 보도하면서 시작됐다. 특히 이 계획은 아마존의 초저가 상품 전문 코너인 ‘Haul Store’에 적용될 예정이라는 구체적 내용까지 전해지면서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에 대해 백악관은 신속히 대응에 나섰다. 익명을 요구한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소비자 혼란을 야기할 뿐 아니라, 특정 경제 정책을 공격하기 위한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될 우려가 있다”며 아마존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일각에서는 아마존이 백악관과의 긴장 관계를 감수하면서까지 소비자 인식 전환을 시도하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하지만 아마존은 곧바로 입장을 정리해 사태 진화에 나섰다. 아마존은 공식 성명을 통해 "관세 가격 표시 방안은 내부적으로 논의된 적은 있으나, 실제 시행이 승인된 바 없다"고 밝혔다. 특히, 'Haul Store'와 같은 특정 판매 채널에서도 해당 계획이 확정된 바 없음을 분명히 했다.

아마존 CEO 제프 베이조스(Jeff Bezos) 역시 직접 입장을 밝혔다. 그는 “우리는 항상 소비자에게 투명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고민하지만, 이번 관세 가격 표시 아이디어는 단지 검토 단계에 머물렀을 뿐”이라며, "정치적 의도가 있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날 아마존의 주가는 하루 동안 상당한 변동성을 보였으며, 공식 해명 발표 이후 다소 안정세를 되찾는 모습을 보였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두고 "기업의 가격 투명성 시도가 정치적 해석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특히 미중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는 상황에서 대형 플랫폼 기업의 행보 하나하나가 정치적 논란을 촉발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