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극심한 폭염과 이어진 폭우로 인해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기후플레이션' 현상이 국민 생활비 전반에 압박을 주고 있다. 폭염으로 인해 상승한 농작물 가격에 침수 피해까지 더해지며, 과일과 채소류의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7월 18일 기준 벼, 콩, 수박 등 약 1만3000헥타르 규모의 농작물이 침수 피해를 입었고, 가축 피해도 수만 수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풍수해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대응에 나섰다.
대표적인 여름 과일인 수박 가격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7월 17일 기준 수박 한 통의 평균 가격은 3만1280원으로, 평년 대비 약 50% 이상 상승했다. 고당도 프리미엄 수박의 경우 일부 도매시장에서는 한 통에 4만5000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이러한 가격 상승은 단지 수박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배추, 깻잎, 시금치 등 여름철 수요가 높은 채소 가격도 15~30%가량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무더위와 폭우가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이 지속될 경우 채소류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경고한다.
이마트 관계자는 “현재는 수확 지연 정도의 피해지만, 장마가 길어질 경우 품질 저하와 공급 부족이 본격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와 여당은 주요 농축산물 가격 안정을 위한 긴급 대책에 나섰다. 계약재배 확대와 저율관세 물량 조정, 할인행사 강화 등을 통해 공급 안정을 도모하고 있으며, 과일·닭고기 등에는 최대 40% 할인 혜택도 적용 중이다. 할인 한도는 주 1만원에서 2만원으로 상향됐다.
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단기간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당분간은 수요·공급 불균형에 따른 가격 불안정이 계속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번 여름의 ‘불폭탄’과 ‘물폭탄’은 단순한 기상이변을 넘어 식탁 물가와 직결된 현실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국민들은 당분간 장바구니 물가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며, 정부는 보다 실효적인 기후 대응형 유통 전략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