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와 의약품 등 핵심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방침을 공식화하며 보호무역 압박을 높였다. 8일(현지시간) 백악관 내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와 의약품, 몇 가지 큰 것들에 대한 관세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도체는 현재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대상이지만, 구체적인 관세율이나 시행 시점은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전문가들은 미중 경쟁 심화 국면에서 공급망 재편과 국내 제조업 강화 전략이 배경에 깔려 있다고 본다.

의약품에 대해서는 “1년에서 1년 반 정도 유예한 뒤 200% 수준의 매우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자국 내 의약품 생산을 장려하고 해외 제약업체를 압박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반면 구리에 대해서는 관세 부과 계획을 구체적으로 못 박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50%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혀 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예고했다. 구리는 전기차, 건축, 배터리 등 다양한 산업의 필수 원자재로 꼽히는 만큼, 가격 상승과 공급망 불안이 우려된다.

이번 관세 공세는 대선을 앞두고 제조업 보호와 일자리 창출을 강조하는 트럼프 특유의 ‘미국 우선주의’ 전략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단기적인 정치적 효과와 달리,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무역 갈등, 국내 인플레이션 압력 등 장기적인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