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아파트의 입주 시즌 및 이사철이 다가오면서 인테리어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예산을 절감하면서도 만족스러운 인테리어를 완성할 수 있을까? 업계 전문가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절약 팁을 정리해 보았다.
1. 셀프 인테리어, 정말 저렴할까?
셀프 인테리어는 비용을 절감하는 좋은 방법이지만,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수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도배, 바닥 공사, 실리콘 작업 등은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하다. 직접 시공하다가 실리콘이 망가져 다시 작업해야 하는 경우, 오히려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부분과 직접 할 부분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 비용 절감 TIP :
· 벽지나 페인트칠은 직접 하되, 실리콘 작업은 전문가에게 맡기기
· 조명 교체, 커튼 설치, 가구 조립 등은 직접 진행하여 인건비 절약
2. 인테리어 공정 순서, 제대로 알아야 비용 절감
인테리어 공사는 순서가 매우 중요하다. 순서를 잘못 잡으면 불필요한 추가 공사가 발생할 수 있다.
▶ 일반적인 인테리어 공정 순서:
· 기존 시설 철거
· 단열 및 방음 공사
· 전기 및 배관 공사
· 목공(문, 가구, 몰딩 등) 시공
· 도배 및 타일 시공
· 바닥 마감
· 가구 및 조명 설치
이 순서를 지키지 않으면 재작업이 발생하여 예상보다 많은 비용이 들어갈 수 있다.
3. 인테리어 견적서, 이렇게 확인하자!
견적서를 받을 때, 업체마다 금액이 크게 차이 날 수 있다. 따라서 견적서를 꼼꼼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 비용 절감 TIP :
· 견적서가 7~10페이지 이상인지 확인 (디테일한 견적서일수록 신뢰도 증가)
· ‘일식’이라는 표현이 많은 견적서는 피하기 (예: “일식 300만원” 대신 평당 단가를 확인)
· 포함된 자재 브랜드 및 규격이 명확한지 확인
4. 믿을 수 있는 인테리어 업체 고르는 법
업체를 고를 때는 ‘실내건축 면허’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다. 1,500만 원 이상의 인테리어 공사는 면허 없는 업체에서 진행하면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없다.
▶ 업체 신뢰도 확인 TIP :
· 온라인 후기(맘카페, 블로그)보다 실제 시공 후기를 직접 확인
· 해당 업체가 진행한 공사 사례를 직접 방문하여 확인
· 업체와 계약 전, 표준계약서를 제공하는지 확인 (7페이지 이상이 정상)
5. 공사비 결제, 이렇게 하면 안전하다!
· 공사비 결제는 한 번에 하지 말고, 공정률에 따라 분할하는 것이 안전하다.
▶ 일반적인 결제 비율 (5:3:2 원칙)
· 계약금 50%
· 중도금 30%
· 잔금 20% (공사가 완벽하게 마무리된 후 지급)
공사 진행 상황을 직접 확인하면서 결제를 진행하면, 업체가 책임감 있게 작업을 마무리할 가능성이 높다.
6. 인테리어 비용 절약을 위한 꿀팁
· 반셀프 인테리어 활용: 직접 관리 감독하면서 일부 시공을 전문가에게 맡기면 약 20%~30% 비용 절감 가능
· 신소재 활용: 예를 들어, 기존 강마루 대신 합성 소재 사용 시 평당 50~100만 원 절약 가능
· 이월 자재 활용: 창고에 보관된 이월 자재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업체를 활용
· 정확한 실측 확인: 실제 바닥재 및 벽지 면적을 정확히 측정해 낭비를 줄이기
· 업체와 협의하여 후기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할인받기
■ 똑똑한 인테리어 소비자가 되자!
인테리어는 한 번 하면 오래가는 투자다. 비용 절감만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합리적인 선택을 통해 가성비 높은 결과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위의 팁을 활용하여 인테리어 업체의 함정을 피하고, 스마트한 소비자가 되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