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우크라이나 간의 광물 협정 체결이 임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및 재정 지원의 대가로 5천억 달러(약 720조 원) 규모의 천연자원 제공을 요구하면서, 양국 간 협상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우크라이나가 원하는 안보 보장은 협정에서 제외되면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협정 체결을 두고 깊은 고민에 빠졌다.
23일(현지시간)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특사는 CNN 인터뷰에서 "이번 주 안에 협정이 서명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정부는 미국이 제시한 초안이 국가 경제에 장기적 부담을 줄 가능성이 크다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 측 협정문 초안에는 우크라이나가 광물, 가스, 원유 등 천연자원 수입의 50%를 미국에 제공하며, 협정 체결 이후 우크라이나가 추가로 지원을 받게 될 경우, 지원액의 두 배를 미국이 관리하는 기금에 납부해야 한다는 조항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러시아가 점령한 영토를 되찾을 경우 해당 지역에서 발생하는 자원 수입의 66%를 미국에 넘겨야 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러한 요구에 대해 젤렌스키 대통령은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그는 "우크라이나인들이 10세대에 걸쳐 갚아야 할 협정에는 서명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가 강요받고 있다면 어쩔 수 없이 해야 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반면, 미국 정부는 이 협정을 단순한 경제 거래가 아니라 "경제적 협력이 곧 안보 보장이 된다"는 논리로 방어하고 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미국 기업이 우크라이나 경제에 깊이 관여할수록,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의 전략적 이해관계도 커진다"며, 사실상 경제적 지원이 군사적 보호로 연결될 것임을 암시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는 경제 주권을 훼손하는 협정이라는 비판이 거세다. 특히, 러시아가 점령한 동부 돈바스 지역이 자원이 풍부한 지역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협정 체결 후 우크라이나가 해당 지역을 되찾더라도 그 이익의 상당 부분을 미국에 넘겨야 하는 구조가 문제로 지적된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오늘 저녁부터 5천억 달러 문제는 더 이상 없다"고 선언하며 미국 측과 일부 조항을 조정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협상이 최종 타결될 경우, 우크라이나가 경제적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