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23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가입하게 된다면 대통령직에서 물러날 의사가 있음을 밝혔습니다. 그는 "우크라이나에 평화가 온다면, 내가 정말 이 자리에서 떠나기를 바란다면 나는 준비돼 있다"며, "조건이 즉시 제공된다면 나토와 그것(대통령직)을 바꿀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배제한 채 종전 협상을 시작한 상황에서,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문제는 협상의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포기를 종전의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젤렌스키 대통령은 나토 가입을 '레드 라인'으로 설정한 셈입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며, 젤렌스키 대통령을 "선거를 치르지 않은 독재자"라고 언급했습니다. 이에 대해 젤렌스키 대통령은 "진짜 독재자였다면 기분이 상했겠지만 나는 독재자가 아니다. 합법적으로 선출된 대통령"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크게 개의치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의 대가로 5,000억 달러(약 719조 2,500억 원) 상당의 희토류 개발 지분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대해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채무자로 만드는 어떤 형식도 최종 합의에 없을 것이라며, "오늘 저녁부터 5,000억 달러 문제는 더 이상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된 전쟁 3주년을 맞아 중요한 정상회의를 계획하고 있으며,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 회의가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편, 우크라이나군 정보총국장인 키릴로 부다노우는 러시아군의 최전선 탄약 수요의 50%를 북한이 제공하고 있으며, 북한이 러시아에 170㎜ 자주곡사포와 240㎜ 다연장 로켓 발사 시스템도 대규모로 공급하기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서,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문제와 관련된 협상은 향후 전쟁의 향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